[예술] 문화 역사 문학 미술 (147) 썸네일형 리스트형 먼셀의 색체계ㅣThe Munsell Colour System 먼셀의 색체계ㅣThe Munsell Colour System ◆ 먼셀 표색계( The Munsell Colour System) 미국의 화가 앨버트 먼셀(Albert Henry Munsell, 1858-1919)은 색채연구가이기도 합니다. 그는 색의 3 속성을 척도로 체계화한 를 1905년에 발표합니다. 이어 1913년에는 색 지각의 기초로 을 간행합니다. 두 세트의 차트(총 1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셀 색체계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ㅣ색상배열의 체계를 바탕으로 색상 표시 방법을 창안(1905) ㅣ먼셀 표색계 도해서 출간(1913) ㅣ아들이 먼셀의 색상서 를 완성(1929) ㅣ미국 광학협회에서 먼셀 표색계를 표준색표로 지정(1940) ◆ 먼셀의 색상환 빨강(R), 노랑(Y), 초록(G), 파랑(B), 보.. 소록도의 역사ㅣ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은 낫는다" 소록도의 역사ㅣ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은 낫는다" ◆ 소록도 소록도는 전남 고흥의 서쪽 끝에 자리한 면적 4.4㎢의 작은 섬입니다. 섬의 모양이 어린 사슴과 비슷하다고 하여 '소록도'로 불립니다. 이 섬은 한센병 환자를 위한 국립소록도병원이 들어선 섬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2009년 3월에 소록대교가 정식 개통하면서 육로로 오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소록도 자혜의원 1916년 2월 24일 개원한 소록도 자혜의원은 당시 조선의 유일한 한센병 전문의원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한센병 환자를 강제 분리수용하기 위한 시설로 사용됩니다. ◆ 소록도 중앙공원 이곳의 중앙공원은 1936년 12월부터 3년 4개월 간 약 6만여 명의 환자가 강제 동원되어 19,834㎡(6천 평)의 규모로 조성되었습니다. 공원 곳곳에.. 햇빛의 청색광 효과 The Influence of the Blue Ray of the Sunlightㅣ아우구스투스 플레슨턴 햇빛의 청색광 효과 The Influence of the Blue Ray of the Sunlightㅣ아우구스투스 플레슨턴 ◆ 아우구스투스 플레슨턴 아우구스투스 플레슨턴(Augustus J. Pleasonton, 1808-1894)은 미국 남북전쟁 당시 민병대 장군입니다. 1808년 워싱턴DC에서 태어났으며 부친의 공직 생활에 영향을 받아 군에 복무하게 됩니다. 플레슨턴이 1876년 출간한 라는 책이 현대의 크로모테라피(Chromotherapy: 색채요법) 창시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 햇빛의 청색광 효과(The Influence of the Blue Ray of the Sunlight) ㅣ개념 아우구스투스 플레슨턴은 말년에 태양의 청색 파장(The Blue Ray)이 본질적으로 고유하며, 특히 동식물의.. 영국 vs 프랑스 백년전쟁 Hundred Years' Warㅣ원인, 경과, 결과 영국 vs 프랑스 백년전쟁 Hundred Years' Warㅣ원인, 경과, 결과 (ft.잔 다르크) ◆ 백년전쟁(Hundred Years' War) 백년전쟁(Hundred Years' War)은 1337년부터 1453년까지 약 116년간 이어진 영국(잉글랜드)과 프랑스 왕국 간의 분쟁을 일컫습니다. 중세시대 중대한 갈등으로 에드워드 3세(1327-1377)와 필립 6세(1328-1350)가 봉건적 권리를 둘러싼 분쟁을 프랑스 왕좌를 차지하기 위한 전투로 확대하면서 전쟁이 시작됩니다. 결국 프랑스 왕국이 승리하여 칼레를 제외한 프랑스 전역을 지배하게 됩니다. * 괄호 안은 재위 기간 ◆ 백년전쟁의 원인 백년전쟁의 원인은 매우 복잡합니다. 여러 군주가 등장하고 사라지면서 전쟁의 동기도 달라졌습니다. 주요 원.. 쿠사마 야요이 Kusama Yayoiㅣ예술가의 작품과 생애 쿠사마 야요이 Kusama Yayoiㅣ예술가의 작품과 생애 ◆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 1929)는 일본의 조각가이자 설치미술가입니다. 1929년 3월 일본 나가노현에서 태어나 정규 교육은 거의 받지 못했으며 교토예술대에서 잠시 미술 공부한 이력이 있습니다. 가정 내 갈등과 예술가가 되겠다는 열망으로 1957년 미국으로 갑니다. 1959년부터 1972년까지 뉴욕에서 작품 활동을 진행합니다. ◆ 쿠사마 야요이의 예술적 경향 자칭 '집요한/강박적인 예술가(Obsessional Artist)'로 물방울무늬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무한대 설치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을 포함한 다양한 스타일의 회화, 조각, 퍼포먼스 아트, 설치 미술을 진행했습니.. [그리스신화] 카오스 Chaosㅣ태초의 신, 우주의 창조자, 혼돈과 무질서 [그리스신화] 카오스 Chaosㅣ태초의 신, 우주의 창조자, 혼돈과 무질서 ◆ 카오스(Chaos) 리스 신화 속의 카오스(Chaos)는 혼돈과 비정형을 상징하는 초월적인 존재, 태초의 신으로 나타납니다. 우주가 탄생하기 이전에 카오스가 존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카오스는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와 안개, 하늘과 땅 사이의 공간인 틈을 의미합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카오스(Chaos) 이후 대지의 신 가이아(Gaia), 지하 공간의 신 타르타로스(Tartarus), 사랑의 신 에로스(Eros: 창조의 원동력 에너지)가 탄생하며 이들이 우주 탄생과 진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카오스(Chaos)의 다른 이름 카오스는 종종 대기를 의인화한 '공기(Air)'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불리기도 합니다. .. [그리스신화] 오르페우스 Orpheusㅣ음악의 아버지, 오르피즘 Orphism [그리스신화] 오르페우스 Orpheusㅣ음악의 아버지, 오르피즘 Orphism ◆ 오르페우스(Orpheus) 오르페우스(Orpheu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트라키아(Thracia: 불가리아, 그리스, 터키 지역을 일컬음)의 시인이자 전설적인 음악가, 예언자입니다. 전설적인 현악기 리라(Lyra)를 다룹니다. 이비코스나 핀다로스는 오르페우스를 '음악의 아버지'라고 말합니다. 오르페우스의 아버지에 관해서는 트라키아의 왕 오이아그루스와 음악의 신 아폴론 두 가지 설이 내려오고 있습니다. ◆ 님프 에우리디케와의 결혼 오르페우스는 님프 에우리디케(Eurydice)와 사랑에 빠져 결혼합니다. 얼마 후 에우리디케는 산책을 나갔다가 뱀에 물려 죽게되고 이를 슬퍼하던 오르페우스는 아내를 다시 이승으로 데려오기 위해 .. 개념미술 Conceptual Artㅣ인공지능 챗GPT 시대의 예술 개념미술 Conceptual Artㅣ인공지능 챗GPT 시대의 예술 인공지능 챗GPT가 그린 그림이 미술 대회에서 수상을 하는 등 예술계에서도 인공지능이 주요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과연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더 그림을 잘 그리는 시대에 미술이란 과연 무엇인가 질문하게 됩니다. 결과물인 작품보다 그 안에 담긴 아이디어 또는 개념을 더 중시하는 미술사조인 개념미술이 그에 대한 답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 개념미술(Conceptual Art) 개념미술은 완성된 예술품보다 작품의 아이디어(또는 개념)가 더 중요한 예술입니다. 1960년대 예술운동으로 등장했으며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유행한 예술사조를 의미합니다. ◆ 개념미술 용어의 기원 1960년대 초반에 '컨셉아트(Concept Art)'.. 아틀란티스 Atlantisㅣ전설 속 국가, 초고대문명 (ft 플라톤) 아틀란티스 Atlantisㅣ전설 속 국가, 초고대문명 (ft 플라톤) ◆ 아틀란티스 Atlantis 아틀란티스(Atlantis)는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Plato, BC429~347년경)이 저작에서 언급한 전설 속의 도시입니다. 엄청나게 부유하고 선진적인 문명을 이루었던 아틀란티스가 바다에 휩쓸려 영원히 사라졌다는 이야기는 지금까지도 사람들의 상상력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고고학적 증거나 플라톤 이외의 출처를 지닌 실질적 정보가 없는 아틀란티스 전설은 그래서 답보다 의문이 많습니다. ◆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Timaeus」와 「크리티아스, Critias」 아틀란티스(Atlantis) 이야기는 플라톤의 후기 작품 중 하나인 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이후 의 후속작 격인 에서 아틀란티스에 관한 더 자세한 이야.. 타로 Tarotㅣ타로카드 구성, 용어, 이미지 저작권 등 타로 Tarotㅣ타로카드 구성, 용어, 이미지 저작권 등 ◆ 타로(Tarot) 란? 타로(Tarot)는 15세기 중반부터 유럽 각지에서 게임을 하는 데 사용된 카드입니다. 18세기 후반 일부 타로 카드가 해석과 점술에 쓰이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목적에 맞게 덱(Deck, 카드)이 개발됩니다. 현재까지 신비주의적 상징이나 점술을 위한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캐임브리지 사전에는 타로(Tarot)의 의미가 '그림이 있는 78장의 카드세트로 미래에 누군가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아내는 데 사용된다. a set of 78 cards with pictures on them, used for trying to find out what will happen to someone in the future.' 라고.. 한글에 담긴 음양오행과 천지인 삼원ㅣ훈민정음 창제 원리 한글에 담긴 음양오행과 천지인 삼원ㅣ훈민정음 창제 원리 ◆ 훈민정음 창제 원리 훈민정음이 창제(1446)된 당시 우주 만물과 인간의 삶을 태극과 음양, 오행, 삼원(천지인) 등의 이치를 통해 이해했습니다. 세종대왕은 우리 말소리를 나타낼 글자를 만드는 원리와 글자 모양에도 이러한 자연의 이치를 담아 창제하였습니다. 음양, 오행, 삼원, 그리고 한글에 담긴 이들의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 음양 음양은 우주 자연의 모습과 작용을 두 가지로 나눠 놓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하늘과 땅, 물과 불 등은 음양의 모습이고 상승과 하강, 밝음과 어둠 등은 음양의 작용입니다. 음양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짝을 이루며 존재하고 작용합니다. 즉, 밝음은 어둠이 있기에 존재할 수 있는 개념이라는 것입니.. 2022 노벨 물리학상ㅣ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2022 노벨 물리학상ㅣ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양자 기술의 시대◆ 2022 노벨 물리학상(The Nobel Prize in Physics 2022) 지난해 은 요즘 꽤나 주목받고 있는 양자역학 분야에 그 영광이 돌아갔습니다. 저도 흥미 있어하던 분야라 내용을 좀 찾아봅니다. 2022년 노벨상은 10월 2일부터 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물리학상은 10월 4일에 스웨덴 왕립과학원 사무총장 한스 엘레그렌 교수(Professor Hans Ellegren)가 발표했습니다. ◆ 수상자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은 세 명의 물리학자가 공동수상했으며 양자기술 시대를 여는데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습니다. 알랭 아스펙트(Alain Aspect, 1947) 프랑스 파리 사클레이대 교수존 F. 클라우저(Jo.. 궁체란? 조선시대 궁녀들이 쓰던 한글서체ㅣ궁서체의 기원 궁체란? 조선시대 궁녀들이 쓰던 한글서체ㅣ궁서체의 기원 ◆ 궁체 흔히 '궁서체'로 불리는 '궁체'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궁녀들이 쓰던 한글 서체를 이르는 용어입니다. 민간에서는 내간지에 사용하였으며 내서라고도 합니다. 궁체는 서체상으로는 정서와 흘림으로 나뉘며, 양식상으로는 등서체와 서한체로 구분됩니다. ㅣ정서와 흘림 정서는 한자의 해서, 흘림은 한자의 행서나 초서와 같은 의미입니다. ㅣ등서체와 서한체 등서체는 정돈되고 규칙적이며, 서한체는 불규칙적이고 자유롭습니다. ◆ 궁체의 기원 궁체의 기원에 대해서는 대체로 한글 창제 이후의 한글 판본체가 읽기는 쉬우나 쓰기에 어려워 점점 쓰기 편리한 필사체로 변화·발전한 것이 궁체를 형성한 기원으로 보고 있습니다. ◆ 궁체의 대중화 조선 중기 이후 한글이 일반 민중.. 한국 최초로 한영사전(영한사전) 만든 사람ㅣ언더우드 선교사 한국 최초로 한영사전(영한사전) 만든 사람ㅣ언더우드 선교사 ◆ 한국 최초 한영사전을 만든 사람 대한민국 최초로 한영사전(영한사전)을 만든 사람은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선교사(Horace Grant Underwood, 1859-1916)입니다. 언더우드 선교사는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미국인 선교사로 고종황제가 재위하던 1885년 조선 땅을 처음 밟았습니다. ◆ 한영사전 만든 계기 고종황제가 조선 제26대 국왕으로 재위하던 시기(1864-1897)에는 조선에서 많은 선교사가 교육, 의료, 선교, 봉사활동을 하고 있었습니다. 언더우드 선교사 역시 이러한 활동들을 하면서 현장에서의 원활한 소통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한글과 우리말의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영사전을 만들게되었습니다. ◆ 한국 최초..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한글 창제정신ㅣ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한글 창제정신ㅣ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유네스코(UNESCO)에서 한국 세종대왕 이름으로 전 세계에 수여하는 상이 있습니다. 정식 명칭은 이며, 유네스코 국제 문해상 중 하나입니다. ◆ 유네스코 국제 문해상(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 유네스코에서는 1967년부터 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이 상은 전 세계 정부, 비정부기구 또는 개인이 수행한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합니다. 을 통해 세계 시민의 문해력 향상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문해력 증진을 통한 역동적인 사회 분위기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The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은 1989년.. [그리스신화] 미다스 Midasㅣ미다스의 손 의미, 탐욕의 상징 [그리스신화] 미다스 Midasㅣ미다스의 손 의미, 탐욕의 상징 ◆ 미다스 Midas 왕 미다스(Midas)는 소아시아의 왕으로 매우 부유했으나 항상 조금 더 많은 것을 원하던 왕입니다. 만지는 모든 것을 금으로 바꾸는 특별한 능력으로 유명한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이기도 합니다. 이 '황금의 손'은 지혜로 유명한 실레누스(Silenus)를 환대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디오니소스(Dionysos)가 선물로 준 능력입니다. ◆ 황금을 만드는 미다스의 손 미다스는 본인의 요청으로 디오니소스에게 귀한 선물을 받습니다. 바로 만지는 모든 것을 황금으로 변하게 해 달라는 것인데 처음엔 무척 영리한 듯 보이지만 차차 이 능력이 얼마나 가혹한지 깨닫게 됩니다. 타려던 말이 차갑고 생명력 없는 금으로 변해버리고 폭..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