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 문화 역사 문학 미술

먼셀의 색체계ㅣThe Munsell Colour System

728x90
반응형


먼셀의 색체계ㅣThe Munsell Colour System


◆ 먼셀 표색계( The Munsell Colour System)

 

미국의 화가 앨버트 먼셀(Albert Henry Munsell, 1858-1919)은 색채연구가이기도 합니다. 그는 색의 3 속성을 척도로 체계화한 <먼셀 표색계>를 1905년에 발표합니다. 이어 1913년에는 색 지각의 기초로 <The Atlas of the Munsell Colour System>을 간행합니다. 두 세트의 차트(총 1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셀 색체계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728x90

 

ㅣ색상배열의 체계를 바탕으로 색상 표시 방법을 창안(1905)

ㅣ먼셀 표색계 도해서 <The Atlas of the Munsell Colour System> 출간(1913)

ㅣ아들이 먼셀의 색상서 <Munsell book of Colour>를 완성(1929)

ㅣ미국 광학협회에서 먼셀 표색계를 표준색표로 지정(1940)

 

◆ 먼셀의 색상환

 

빨강(R), 노랑(Y), 초록(G), 파랑(B), 보라(P)의 5가지 기본색에 주황(YR), 연두(GY), 청록(BG), 남보라(PB), 자주(RP)의 중간색이 있으며 각 색상은 1번에서 10번까지 숫자를 붙여 표기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업규격 KSA0062-71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교육부 고시 312호로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 먼셀의 색기호 표시법

 

색상(H), 명도(V), 채도(C)의 순서로 기록하며 색상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색을 5번으로 나타냅니다. 예컨대 '5R 5/14'의 경우 최고 채도와 중간 명도를 지닌 5번 기본 빨간색입니다. 읽을 때는 '5R 5의 14'라고 읽을 수 있으며, 의미는 색상 5R, 명도 5, 채도 14에 해당하는 색이라는 뜻입니다. 

 

반응형

 

◆ 먼셀의 색입체(먼셀의 컬러트리 The Munsell Colour Tree)

 

먼셀은 모든 색채를 색상, 명도, 채도의 종합이라고 정의하고 이 세 가지의 관계를 조직적으로 연결하여 일그러진 구의 형태를 한 색입체를 고안합니다. 색상은 색입체의 바깥 부분에 위치하고, 명도는 색입체의 중심축으로 무채색 11단계를 나타내며, 채도는 색입채에서 수평으로 위치합니다. 

 

 

◆ 먼셀 색체계의 장점과 단점

 

ㅣ장점

 

색의 3속성에 의한 원통 좌표계로 표시하여 단순하고 알기 쉬움 

각 속성이 모두 십진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산업기준으로 채택하는 사례가 많아 호환성이 좋음

가산혼합(RGB 빛의 삼원색: 빨,초,파), 감산혼합(RYB 색의 삼원색: 빨,노,파) 색채에 모두 유용함 

 

ㅣ단점

 

색채의 번호가 색채의 속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함

채도가 같은 색끼리 등채도 색상환을 만들었을 때 채도에 대한 느낌이 같지 않음

 

/참고 및 사진출처: Britannica web.


2023.12. 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