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세계] 국제 이슈 외국어

(284)
영구동토층(Permafrost)이 녹으면 생기는 일 5가지 영구동토층(Permafrost)이 녹으면 생기는 일 5가지◆ 영구동토층(Permafrost)  영구동토층이란 2년 이상의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얼어붙어 있는 곳을 말합니다. 육지에 있을 수도 있고 바다 밑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일부 영구동토층은 수백 년 또는 수천 년 동안 얼어붙어 있으며 계절 변화에도 변함이 없습니다. 북반구의 약 15%, 지구 표면의 약 11%가 영구동토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면적은 약 1,800만㎢에 달합니다.   ㅣ연속 영구동토층 전체 땅의 90~100%가 얼어 있으면 연속 영구동토층이라 부르며 북반구에만 존재합니다.  ㅣ불연속 영구동토층 땅의 50~90%가 얼어붙은 상태로 유지될 때를 말하며 계절에 따라 땅의 상태가 변동합니다.  ㅣ산발적 영구동토층 지역의 영구동토층이 50..
무국적(Statelessness)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사실ㅣUNHCR 무국적(Statelessness)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사실ㅣUNHCR부모의 국적이 다르거나, 아이가 외국에서 태어나거나, 국적 국가가 다른 나라가 되거나 없어지는 경우, 거주하는 영토가 다른 국가의 지배를 받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법률이 충돌하거나 근거 법령이 없어지는 등의 이유로 무국적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알려진 이러한 이유보다 더 다양한 무국적자 양산 사유가 있으며 그 수가 적지 않다는 점에 무국적자 문제의 심각성이 있습니다. 무국적(Statelessness)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사실을 정리해 봅니다.   1. 무국적자(Statelessness)란? 1954년 유엔(UN)의 '무국적자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따르면 무국적자란 "어떤 국가의 법에 따라 국민으로 간주되지 ..
대니얼 카너먼 Daniel Kahnemanㅣ2002 노벨경제학상 대니얼 카너먼 Daniel Kahnemanㅣ2002 노벨경제학상◆ 2002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 ㅣ생몰연대 1934년 3월 5일, 이스라엘 텔아비브(Tel Aviv, Israel) 출생 / 2024년 3월 27일 사망 ㅣ수상 이유 "for having integrated insights from psychological research into economic science, especially concerning human judgment and decision-making under uncertainty." (심리학 연구, 특히 불확실성 하에서 인간의 판단과 의사 결정에 관한 통찰력을 경제 과학에 통합한 공로를 인정함) ◆ 대니얼 카너먼(Daniel K..
마이크로비드(Microbeads)와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 마이크로비드(Microbeads)와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 마이크로비드(Microbeads) 마이크로비드는 미세플라스틱의 한 유형으로 일반적으로 스크러빙 또는 각질 제거 같은 특정한 기능을 하는 제품에 들어갑니다. 거의 모든 화장품 제품에 마이크로비드가 첨가되며 주로 폴리에틸렌(PE)과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로 만들어집니다.  마이크로비드는 약 50년 전 개인 관리 제품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플라스틱이 천연 성분을 점차 대체해오고 있습니다. 약 10년 전인 2012년만 해도 이 문제는 큰 관심을 끌지 못했으며 시중에는 마이크로비드가 함유된 제품이 넘쳐났습니다. 이후 2015년 12월, 미국은 화장품과 개인 관리 제품에 마이크로비드를 금지하는 법안을 마련하게 됩니다.   ◆ ..
대한민국이 가입한 UN 국제인권조약 8개 대한민국이 가입한 UN 국제인권조약 8개  ◆ 유엔(UN, United Nations)이 채택한 핵심 국제인권조약 9개  1. 자유권규약 생명권, 신체의 자유와 안전, 사상의 자유, 양심의 자유, 종교의 자유 등 2. 사회권규약 식량권, 건강권, 노동권, 교육권 등 3. 인종차별철폐협약 인종이나 피부색 구별 없이 차별 금지, 법 앞의 평등권   4. 여성차별철폐협약  남녀평등권, 여성의 정치적 공적 생활에서의 권리 등 5. 고문방지협약 고문의 범죄화, 처벌, 피해자 보호 등 6. 아동권리협약 아동의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등 7. 장애인권리협약 장애인의 접근권, 이동권, 사회적 보호 등 8. 강제실종방지협약 강제실종 범죄 방지, 처벌, 피해자의 권리 보장 등 9. 이주노동자권리 협약 강제노동 ..
리고베르타 멘추 툼ㅣ1992 노벨평화상, 아메리카 원주민 인권 리고베르타 멘추 툼 Rigoberta Menchú Tumㅣ1992 노벨평화상, 아메리카 원주민 인권◆ 1992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 리고베르타 멘추 툼 (Rigoberta Menchú Tum) ㅣ생몰연대 1959년 1월 9일, 과테말라 알데아 치멜(Aldea Chimel, Guatemala) 출생 ㅣ수상 이유 "for her struggle for social justice and ethno-cultural reconciliation based on respect for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원주민의 권리 존중을 바탕으로 사회 정의와 민족적 문화적 화해를 위해 투쟁한 공로를 인정받음)  ◆ 리고베르타 멘추 툼(Rigoberta Menchú Tum)에 대하여 리고..
국경없는 의사회 MSFㅣ1999 노벨평화상 국경없는 의사회 Medecins Sans Frontieresㅣ1999 노벨평화상◆ 1999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단체): 국경없는 의사회 (MSF, Medecins Sans Frontieres) ㅣ설립일  1971년 프랑스 파리 ㅣ역할 독립적이고 중립적이며 공정한 긴급 구호 기관  ㅣ수상이유 "in recognition of the organization's pioneering humanitarian work on several continents" (여러 대륙에 걸친 국경 없는 의사회의 선구적이고 인도주의적인 활동을 인정함)  ◆ 국경없는 의사회(MSF, Medecins Sans Frontieres) ㅣ국경없는 의사회(MSF)는 1971년 프랑스 의사들과 의학 전문 언론인들에 의 설립된 독립적이고 중립적..
슬로바키아 Slovakㅣ국가정보(종합) 위치,여행,문화,치안,경제,날씨,종교 등 슬로바키아 Slovak Republicㅣ국가정보(종합) 위치,여행,문화,치안,경제,날씨,종교 등* 대한민국 일반 여권으로 90일간 무비자 체류 가능 1. 위치, 수도, 면적, 인구, 언어, 민족, 시차 슬로바키아공화국(Slovak Republic)은 중부유럽에 위치한 내륙 국가입니다. 체코, 오스트리아, 헝가리, 우크라이나, 폴란드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수도는 브라티슬라바(Bratislava)입니다.  인구는 2024년 기준 570만 2,832명으로 세계 116위, 국토 면적은 4만 9035㎢로 한반도의 4분의 1 정도입니다. 공식 언어는 슬로바키아어를 사용합니다. 영어 소통율은 높지 않으나 젊은 층들은 영어 구사가 비교적 가능한 편입니다.  민족은 슬로바키아인이 83.8%, 헝가리인이 7.8%, 집시..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높은 상위 10개국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높은 상위 10개국◆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탄소발자국은 쉽게 말해 탄소 배출량을 의미합니다. 인간의 활동, 제품 제조 또는 소비, 기업 또는 국가가 대기에 뿜어내는 온실가스의 총량을 비교할 수 있게 해주는 지수입니다. 공식적으로는 이산화탄소(CO2) 및 메탄(CH4) 배출량의 총량을 측정하여 탄소발자국을 산출해 냅니다. 제품의 탄소발자국은 전 평가 과정의 탄소 배출량을 포함하며 생산부터 소비, 폐기까지 이어집니다.  전 세계적으로 2022년 이후 탄소발자국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급증하여 2023년에는 37,55기가톤의 CO2 배출 최고치를 기록하여 새로운 기록을 세웠습니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발자국이 높은 국가를 조사하여 그 영..
기후 변화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ㅣUNEP 기후 변화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ㅣUNEP 유엔환경계획1. 기후 변화는 항상 일어났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 지구의 온도가 오랫동안 변동해 온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1만 년 전 마지막 빙하기 이후 기후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이것이 인간 문명의 발전에 결정적 요인이 되었습니다. 그 안정성이 이제 흔들리고 있으며 지구는 2,000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2023년은 전 세계 최고 기온을 경신했습니다. 또한 다른 기후 관련 지표도 급증하고 있는데 해수 온도, 해수면, 온실가스의 대기 농도가 기록적인 속도로 상승하고 있는 반면 해빙과 빙하는 놀라운 속도로 녹고 있습니다.     2. 기후 변화는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인간과는 큰 상관이 없다  기후 변화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
세계 식량 안보(Food Security)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세계 식량 안보(Food Security)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1. 세계 식량 안보(Food Security) 현황 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여파 등으로 식품 가격이 지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식량 불안을 겪는 사람의 수가 2019년 1억 3,500만 명, 2022년에는 3억 4,500만 명으로 늘어났습니다.   2. 식량 안보와 기후 변화(Climate Change)의 관계 세계 식량 불안정은 기후 변화로 인해 더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극심한 폭염, 폭우, 가뭄은 식량 생산과 유통 전반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3. 기후 변화로 인한 식량 안보 불안정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지역 기후 변화로 인한 농업 실패와 굶주림의 위험에 가장 많이 ..
12월 5일 세계 토양의 날ㅣUN 국제기념일 12월 5일 세계 토양의 날ㅣUN 국제기념일 ◆ 12월 5일, 세계 토양의 날(World Soil Day) 매년 12월 5일은 국제연합 UN이 정한 입니다. 인간 삶에 필수불가결한 토양의 중요성을 알리고 토양을 자원으로 보호하기 위해 지정하였습니다. 이 날은 2012년 태국 정부가 제안한 것으로 이듬해 2013년 11월 제68차 UN 정기총회에서 매년 12월 5일을 '세계 토양의 날'로, 2015년을 '세계 토양의 해'로 정할 것을 선포했습니다.    ◆ 토양에 관한 중요한 사실  ㅣ우리가 먹는 음식의 95%는 토양에서 나옵니다 ㅣ건강한 토양 1㎥는 250리터 이상의 물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ㅣ부적절한 토양 및 수질 관리 관행은 토양 침식, 토양 생물다양성, 토양 비옥도, 수질, 토양의 양에 영향을 미칩..
플라스틱(Plastic) 역사의 어두운면과 밝은면 플라스틱(Plastic)역사의 어두운면과 밝은면 ◆ 1869년 최초의 플라스틱 발견 최초의 합성 폴리머(synthetic polymer)는 1869년 미국인 존 웨슬리 하얏(John Wesley Hyatt, 1837-1920)이 발명했습니다. 이는 뉴욕의 한 회사가 당구공 제작에 들어가는 상아를 대체할 물질을 공모한 것에서 시작합니다. 존 웨슬리 하얏은 면 섬유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처리하여 천연 물질을 모방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발견합니다. 이 신소재의 발견은 가히 혁명적이었으며 천연자원의 부족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제약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1907년 새로운 완전 합성 플라스틱 개발 1907년 레오 베이클랜드는 최초의 완전 합성 플라스틱인 베이클라이트를 발명합니다. 천 가지 ..
모나코 Monacoㅣ국가정보(종합) 위치,여행,문화,치안,경제,날씨,종교 등 모나코 Monacoㅣ국가정보(종합) 위치,여행,문화,치안,경제,날씨,종교 등1. 위치, 수도, 면적, 인구, 언어, 민족, 시차 모나코공국(Principality of Monaco)은 서유럽에 위치한 나라로 북서쪽은 프랑스 영토, 남동쪽은 연안에 접하고 있습니다. 교황청(The Holy See, 바티칸시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작은 국가로 수도는 국토 전체인 모나코(Monaco)입니다. 도시국가라는 의미죠. 국토면적이 여의도 면적보다 작아 UN 정회원국 가운데는 가장 작은 나라에 해당합니다. 인구는 2021년 기준 3만 1223명, 국토 면적은 2.02㎢로 작은 나라이지만 인구 밀도로는 세계 1위입니다. 도시국가의 특징이지요. 공식 언어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며 주요 관광지에서는 영어와 이탈리아어도 ..
고기 단백질 vs 두부 단백질ㅣ7가지 오해와 진실 고기 단백질 vs 두부 단백질ㅣ7가지 오해와 진실1. 진실 : 두부는 단백질의 좋은 공급원이다 (O)   두부는 완전 단백질 식품으로 우리 몸의 세포를 구성하고 재생시키는 데 사용되는 모든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어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식품이며 채식주의자에게 가장 좋은 단백질 공급원 중 하나입니다. 반면 많은 식물성 단백질은 우리 몸에 필요한 아미노산 중 일부만 포함되어 있어 불완전한 단백질입니다. 그러나 두부는 육류만큼 단백질이 풍부하지는 않은데 두부 100g당 8.1g의 단백질이 들어 있는 반면 닭고기는 32g, 달걀은 14.1g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2. 오해 : 육류는 두부 단백질보다 건강에 좋다 (X)  두부는 가공된 식품이고 고기는 가공되지 않은 식품이라 고기가 더 몸에 좋다고..
신종 감염병 이름 짓는 법ㅣWHO 세계보건기구 지침 신종 감염병 이름 짓는 법ㅣWHO 세계보건기구 지침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이 발생하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이름을 짓게 되는 걸까요. 코로나19가 최초 발생했을 때 '우한 폐렴', '우한 코로나' 등으로 부른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 'COVID-19', 한글 표기로는 '코로나19'로 정해졌습니다. 이것은 세계보건기구 WHO가 2015년 발표한 에 따른 것입니다.  WHO 지침에 따른 신종 감염병 이름 짓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신종 감염병 또는 질병의 이름이 붙여지는 경우  : 인간에게서 발견된 적이 없었던 질환 / 인간 감염병 증후군 질환 / 공공보건에 잠재적으로 영양을 미치는 질환 / 공통으로 사용되는 병명이 없는 경우  ◆ 신종 감염병 질병 명명 시 지켜야 할 일반원칙 ㅣ일반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