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국제 이슈 외국어 (296) 썸네일형 리스트형 (11) 부정문 부정표현 ne, neni-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에스페란토 부정문과 부정표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잠시 언급하긴 했지만 전체적인 부정문을 다시 정리해 봅니다. ㅣ에스페란토 기본 부정은 ne (아니다/않다) 입니다. 보통 동사 앞에 위치해서 문장의 내용을 부정합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위치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ㅣ다음 예문을 통해 ne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Mi ne laboras. (나는 일하지 않는다) Mi ne dormas. (나는 안 자요) ㅣ에스페란토 부정대명사와 부정부사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neni- 가 사용됩니다. neni- 는 문장의 어디에 있든지 문장 전체를 부정합니다. nenio 아무것도 없음 (nothing) neniu 아무도 없음 (none) nenie .. (10) 전치사 al, de, en, por...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에스페란토 전치사(prepozicio)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ㅣ에스페란토 전치사 역시 영어만큼이나 다양합니다.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 가운데 아래 22개의 전치사를 알아보겠습니다. al = to ~에게, ~로 (방향) Mi donas libron al vi. → I give a book to you. de = from, of ~로부터, ~의 (소유) La libro estas de mia amiko. → The book is from my friend. da = of ~만큼의 (양, measurement) Glaso da akvo. → A glass of water. en = in~안에Mi estas en la ĉambro. → I am in the room. el = out of.. (9) 의문사 Kio, Kiu, Kie...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에스페란토 의문사(demandvort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ㅣ에스페란토 의문사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영어 의문사와 병기해서 정리해봅니다. Kio = What 무엇? (사물에 대한 질문) Kiu = Who/Which 누구?/어느 것? (사람·사물 모두 가능) Kie = Where 어디? (장소) Kiam = When 언제? (시간) Kiel = How 어떻게? (방법) Kial = Why 왜? (이유) Kiom = How much/How many 얼마나? (수량, 양/숫자) Kies = Whose 누구의? (소유) ㅣ예문을 통해 의문사 사용법을 연습해보겠습니다. Kio estas tio? → 그건 뭐야? (What is that?) Kiu venos hodiaŭ? → 오.. (8) 시간 표현, 요일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에스페란토로 시간 표현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ㅣ에스페란토로 시간(horo)을 묻고 답하는 문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Q: Kioma horo estas? (What time is it?) A: Estas la sepa. (It is 7 o'clock.) * 묻는 문장 해설 : kioma 는 의문사, horo 는 시간(time)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 답하는 문장 해설 : 답을 할 때는 'La + 기수(ordinal)' 구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ㅣ예문을 통해 시간 표현하는 법을 연습해보겠습니다. Estas la unua. 1시야Estas la dua. 2시야Estas la tria. .. (7) 날짜 표현, 월, 계절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에스페란토로 날짜 표현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ㅣ에스페란토로 오늘의 날짜(dato)를 묻고 답하는 문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Q: Kiu tago estas hodiaŭ? (What day is it today?) A: Hodiaŭ estas la dek kvina de aprilo. (Today is April 15th.) * 묻는 문장 해설 : kiu 는 의문사, tago 는 날(day), hodiaŭ 는 오늘(today)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 답하는 문장 해설 : 답을 할 때는 'La + 기수(ordinal) + de + 월(monato)' 구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ㅣ예문으로 날짜 표현을 몇가지 더 보겠습니다. la unua de januaro. → 1월 1일 la dek kvar.. (6) 숫자 읽기 unu, du, tri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에스페란토 숫자(nombroj)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ㅣ우선 0 부터 10 까지 정리해 봅니다. 0 nulo (zero)1 unu (one)2 du (two)3 tri (three)4 kvar (four)5 kvin (five)6 ses (six)7 sep (seven)8 ok (eight)9 naŭ (nine)10 dek (ten) ㅣ11 부터는 숫자를 그냥 붙이거나 띄어쓰기만 하면 되는데 표현이 매우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1 dek unu 12 dek du 19 dek naŭ 20 du.. (5) 일반대명사 ĉi tio, tio, tiu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에스페란토 일반대명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ㅣ에스페란토에서 '이것, 저것, 그것, 모든 것, 아무것도' 같은 일반대명사(지시대명사 포함)를 영어와 비교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역시 유사하게 반복되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this) ĉi tio 이것 (that/it) tio 그것/저것 (this one) ĉi tiu 이것/이사람(that one) tiu 저것/저사람(something) io 어떤 것 / 무언가 (something) ĉio 모든 것 (nothing) nenio 아무것도 없음 (someone) iu 어떤 사람 / 누군가 (everyone) .. (4) 인칭대명사 mi, vi, li, ni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에스페란토 인칭대명사를 알아보겠습니다. ㅣ에스페란토 주격 인칭대명사는 영어와 비교해서 정리해 봅니다. (I) mi 나 (you) vi 너/당신 (단수/복수 모두) (he) li 그 (she) ŝi 그녀 (it) ĝi 그것 (동물/사물/개념 등) (we) ni 우리 (they) ili 그들/그녀들/그것들 (one) oni 일반적인 사람/누구나* vi 의 경우 존칭의 '당신'도 되고 친구에게 쓰는 '너'도 됩니다. 복수형으로 '당신들/너희들' 역시 vi 그대로 사용합니다. ㅣ에스페란토 소유격 인칭대명사(소유형용사)는 주격 인칭대명사 뒤에 -a 를 붙이면 됩니다. 소유대명사 역시 형태는 같지만 문장 속에서 역.. (3) 동사 형태 -as, -is, -os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에스페란토 동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에스페란토 동사는 어간+어미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동사 변화는 매우 규칙적이라 한 번 익혀두면 활용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ㅣ에스페란토 동사원형은 항상 -i 로 끝나는데 동사를 변형할 때는 원형에서 -i를 떼고 새로운 어미를 붙여주면 됩니다. 어간(동사원형에서 -i떼기) + 어미 ㅣ먼저 동사 형태가 바뀌는 규칙을 모두 정리해보겠습니다. 현재시제 -as 예) mi parolas 나는 말한다 / 말하고 있다과거시제 -is예) mi parolis 나는 말했다미래시제 -os 예) mi parolos 나는 말할 것이다 조건법 -us예) mi parolus 나는 말할 텐데 (if...)명령형 -u 예) Parolu! 말해! (명령)부정사 -i 예) paroli 말하다 (t.. (2) 명사 형태 -o, -oj, -ojn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ㅣ에스페란토에서 명사(Nouns)의 형태는 단순하고 규칙적입니다. 성별 구분도 없으며 불규칙도 없습니다. ㅣ에스페란토의 기본 명사 어미는 -o 로 끝납니다. hundo [훈도] 개 libro [리브로] 책 domo [도모] 집 amiko [아미코] 친구 infano [인파노] 아이 tablo [타블로] 책상 ㅣ복수형은 -oj 로 끝나는데 단수 명사 뒤에 j를 붙인 형태입니다. -oj 의 발음은 [오이]입니다. hundo / hundoj [훈도이] 개 / 개들 libro / libroj [리브로이] 책 / 책들 domo / domoj [도모이] 집 / 집들 amiko / amikoj [아미코이] 친구 / 친구들 infano / infanoj [인파노이] 아이 / 아이들 tablo / tabloj [타.. (1) 알파벳과 발음ㅣ에스페란토(Esperanto) 배우기 ㅣ에스페란토 알파벳(La alfabeto)은 모두 28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 B C Ĉ D E F G Ĝ H Ĥ I J Ĵ K L M N O P R S Ŝ T U Ŭ V Z ㅣ모음 5개(A E I O U)와 그 외 자음 23개로 구성됩니다. ㅣ에스페란토에는 영어에 있는 Q, W, X, Y가 없습니다. 대신 Ĉ, Ĝ, Ĥ, Ĵ, Ŝ, Ŭ 가 새로 추가된다고 보면 됩니다. 영어에는 없는 이들 알파벳 위에 붙어 있는 윗부호(supersigno)는 발음 구별 기호이며 다른소리부호(∧)와 짧은소리부호(∨)가 있습니다. ㅣ에스페란토 알파벳은 모두 각각 하나의 정확한 소리만 가지고 있고 발음은 항상 일치하며 묵음은 없습니다. 따라서 모든 글자가 발음됩니다. ㅣ에스페란토 알파벳 발음기호와 한국어에 비슷.. 에스페란토(Esperanto) 알아보기ㅣ국제적 인공어 ◆ 에스페란토(Esperanto) 에스페란토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국제어로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인공어입니다. 언어적 장벽을 줄이고 세계 평화를 촉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국제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배우기 쉽고 중립적인 언어로 만들어졌습니다. 자연발생적 언어가 아닌 에스페란토는 언어가 규칙적이며 예외가 거의 없습니다. ◆ 창시자 에스페란토는 폴란드의 안과의사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Lejzer Ludwik Zamenhof, 1859-1917) 박사가 창시한 언어로 1887년 'Lingvo Internacia(국제어)'라는 책을 통해 발표했습니다. ◆ 문자와 어휘의 특징 에스페란토는 로마자 알파벳 28자를 사용합니다. 어휘는 대체로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 등 유럽어에서 차용했습.. 영구동토층(Permafrost)이 녹으면 생기는 일 5가지 영구동토층(Permafrost)이 녹으면 생기는 일 5가지◆ 영구동토층(Permafrost) 영구동토층이란 2년 이상의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얼어붙어 있는 곳을 말합니다. 육지에 있을 수도 있고 바다 밑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일부 영구동토층은 수백 년 또는 수천 년 동안 얼어붙어 있으며 계절 변화에도 변함이 없습니다. 북반구의 약 15%, 지구 표면의 약 11%가 영구동토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면적은 약 1,800만㎢에 달합니다. ㅣ연속 영구동토층 전체 땅의 90~100%가 얼어 있으면 연속 영구동토층이라 부르며 북반구에만 존재합니다. ㅣ불연속 영구동토층 땅의 50~90%가 얼어붙은 상태로 유지될 때를 말하며 계절에 따라 땅의 상태가 변동합니다. ㅣ산발적 영구동토층 지역의 영구동토층이 50.. 무국적(Statelessness)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사실ㅣUNHCR 무국적(Statelessness)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사실ㅣUNHCR부모의 국적이 다르거나, 아이가 외국에서 태어나거나, 국적 국가가 다른 나라가 되거나 없어지는 경우, 거주하는 영토가 다른 국가의 지배를 받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법률이 충돌하거나 근거 법령이 없어지는 등의 이유로 무국적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알려진 이러한 이유보다 더 다양한 무국적자 양산 사유가 있으며 그 수가 적지 않다는 점에 무국적자 문제의 심각성이 있습니다. 무국적(Statelessness)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사실을 정리해 봅니다. 1. 무국적자(Statelessness)란? 1954년 유엔(UN)의 '무국적자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따르면 무국적자란 "어떤 국가의 법에 따라 국민으로 간주되지 .. 대니얼 카너먼 Daniel Kahnemanㅣ2002 노벨경제학상 대니얼 카너먼 Daniel Kahnemanㅣ2002 노벨경제학상◆ 2002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 ㅣ생몰연대 1934년 3월 5일, 이스라엘 텔아비브(Tel Aviv, Israel) 출생 / 2024년 3월 27일 사망 ㅣ수상 이유 "for having integrated insights from psychological research into economic science, especially concerning human judgment and decision-making under uncertainty." (심리학 연구, 특히 불확실성 하에서 인간의 판단과 의사 결정에 관한 통찰력을 경제 과학에 통합한 공로를 인정함) ◆ 대니얼 카너먼(Daniel K.. 마이크로비드(Microbeads)와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 마이크로비드(Microbeads)와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 마이크로비드(Microbeads) 마이크로비드는 미세플라스틱의 한 유형으로 일반적으로 스크러빙 또는 각질 제거 같은 특정한 기능을 하는 제품에 들어갑니다. 거의 모든 화장품 제품에 마이크로비드가 첨가되며 주로 폴리에틸렌(PE)과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로 만들어집니다. 마이크로비드는 약 50년 전 개인 관리 제품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플라스틱이 천연 성분을 점차 대체해오고 있습니다. 약 10년 전인 2012년만 해도 이 문제는 큰 관심을 끌지 못했으며 시중에는 마이크로비드가 함유된 제품이 넘쳐났습니다. 이후 2015년 12월, 미국은 화장품과 개인 관리 제품에 마이크로비드를 금지하는 법안을 마련하게 됩니다. ◆ .. 이전 1 2 3 4 ··· 1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