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국제 이슈 외국어 (291) 썸네일형 리스트형 Must 와 Have to 차이점 ㅣ 영어공부 혼자하기 헷갈리는 영어표현을 쉽게 정리하고 다양한 예문을 통해 습득하는 것이 외국어를 배우는 방법인데요. 오늘은 Must 와 Have t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둘 다 우리말로 번역했을 때는 "~해야한다"로 obligation 의무를 뜻하는 아주 쉬운 단어입니다. 마땅히 해야할 일을 일컫는데요. 굳이 차이를 살펴볼 이유가 없을 듯한데, 실제 이 두 단어가 영어로 사용될 때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Must 의 경우 우리가 우리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해 정한 의무를 의미합니다. 즉, "글을 잘 쓰려면, 너는 우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법을 배워야해" 이것을 하지 않는다고 법적인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꼭 필요한 조건이나 의무를 이야기하는, 이런 경우에 Must를 쓰는 것이죠. 다음으로, Have to 의 .. History 와 Story 차이점? 영어공부 혼자하기 History 와 Story 둘 다 우리말로 번역했을 때는 아주 쉬운 단어입니다. 굳이 차이를 살펴볼 이유가 없을 듯한데, 실제 이 두 단어가 영어로 사용될 때 꽤 헷갈리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어떠한 차이가 있고 이 단어를 사용할 때 유의해야할 점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영어 사용법에 있어서 history 와 story 는 둘 다 '어떠한 일(events)'을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같습니다. 1. history 의 경우 사실에 근거한 과거의(지난) 일 또는 학문의 의미로 사용되며, 그 목적이 그 history 의 결과를 이해하기 위한 것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2. story 는 실제 일어난 사건들의 연속 또는 꾸며낸 사건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데, 그 목적은 대체로 사람들의 재미나 .. so, such, enough, too 차이점? 영어공부 혼자하기 영어 단어 중 비슷한 의미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단어가 종종 있습니다. 저는 그럴땐 그 단어가 다양하게 활용된 문장을 몇개 만들어서 그 문장 전체를 외우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이 좋은 것은 '틀린 문장'을 직관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예문을 통해 비슷한 기능을 하는 용어들의 차이점을 정리합니다. so, such, enough, too 이 네 가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합니다. 정확하게 어떤 의미를 나타내고, 또 사용법은 어떠한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 so와 such는 의미를 '강조'하는 데 사용하며 'very'의 뜻을 갖고 있습니다. too는 '필요 보다 더'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enough는 어떤 것의 '양이 적당'하다 라는 뜻을 나타납내다. ☞ 예문).. 이전 1 ···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