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 문화 역사 문학 미술

[그리스신화] 카오스 Chaosㅣ태초의 신, 우주의 창조자, 혼돈과 무질서

728x90
반응형

[그리스신화] 카오스 Chaosㅣ태초의 신, 우주의 창조자, 혼돈과 무질서


◆ 카오스(Chaos)

 

리스 신화 속의 카오스(Chaos)는 혼돈과 비정형을 상징하는 초월적인 존재, 태초의 신으로 나타납니다. 우주가 탄생하기 이전에 카오스가 존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카오스는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와 안개, 하늘과 땅 사이의 공간인 틈을 의미합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카오스(Chaos) 이후 대지의 신 가이아(Gaia), 지하 공간의 신 타르타로스(Tartarus), 사랑의 신 에로스(Eros: 창조의 원동력 에너지)가 탄생하며 이들이 우주 탄생과 진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728x90

 

◆ 카오스(Chaos)의 다른 이름

 

카오스는 종종 대기를 의인화한 '공기(Air)'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불리기도 합니다. 대지와 하늘 사이의 공허와 틈을 뜻하며 나중에는 하늘이 됩니다. 성경 창세기 1장 2절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라는 표현과 일치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태초의 신이자 카오스의 자녀

 

카오스(Chaos)는 가이아(Gaia), 타르타로스(Tartarus), 에로스(Eros), 닉스(Nyx: 밤의 신), 에레부스(Erebus: 어둠의 신) 5명의 자녀를 두었습니다. 이들은 '태초의 신' 또는 '원시신'이라고 불립니다. 한편 카오스는 부모가 없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그것은 자발적으로 존재했거나 항상 존재했음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 카오스(Chaos)의 개념 변화

 

철학의 도래와 함께 카오스(Chaos)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의 시 <변신, Metamorphoses>에서 "형태 없는 더미", "무례하고 미성숙한 덩어리"로 묘사되며 신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개념이 되었습니다. 혼란과 무질서와 같은 개념과 연관되기 시작하면서 현대 영어 용어 'Chaos(혼돈)'이 파생됩니다.

 

그러나 실제 '카오스(Chaos)'는 "틈, 활짝 열림, 심연"을 뜻하는 그리스어 동사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의미 역시 '틈, 공허, 공기' 등으로 번역됩니다. 

 

◆ 카오스(Chaos)의 현대적 해석

 

과학과 수학 분야에서의 카오스 이론(Chaos theory)은 무질서한 시스템의 예측 불가능성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현대 예술과 문학에서 작가들은 혼돈과 예상치 못한 변화, 비규칙성등을 상징적인 요소로 사용하며 작품에서 카오스를 표현합니다. 사회학과 정치학 분야에서는 불안정성과 급변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데 카오스 개념을 사용하며, 심리학과 철학에서는 인간 내면의 무질서한 요소를 카오스와 연결시켜 창의성과 개별적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합니다. 

  

/참고:  Theoi Greek Mythology


2023.10. 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