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란트슈타이너 Karl Landsteinerㅣ1930 노벨생리학·의학상
◆ 193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칼 란트슈타이너 (Karl Landsteiner)
ㅣ생몰연대
1868년 6월 14일, 오스트리아 비엔나(Vienna, Austrian Empire) 출생 / 1943년 6월 26일, 미국 뉴욕(New York, NY, USA) 사망
ㅣ수상 이유
"for his discovery of human blood groups" (인간의 혈액형을 발견한 공로)
◆ 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의 생애
칼 란트슈타이너는 오스트리아 출신 의사이자 병리학자로 현대 면역학의 기초를 마련한 주요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법학 박사이던 그의 아버지 레오포드 란트슈타이너(Leopold Landsteiner)는 유명한 저널리스트로 칼이 6세 되던 해에 사망합니다. 이후 매우 헌신적인 어머니 파니 헤스(Fanny Hess) 밑에서 자랍니다. 1891년 빈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취득하고 이후 유럽의 여러 대학에서 공부하며 다양한 연구에 참여했으며 특히 독일(E.Bamberger, Emil Fischer 연구실)과 스위스(Hantzsch 연구실)에서 생화학을 연구하며 폭넓은 지식을 쌓았습니다.
칼 란트슈타이너는 자신이 정한 것을 엄격하게 따랐으며 학문에 대한 지치지 않는 열정을 갖고 있었습니다. 성격은 다소 비관적인 성향으로 사람들과 떨어져 지내는 것을 선호했습니다. 칼 란트슈타이너는 생애 마지막까지 혈액형과 항원-항체 및 혈액에서 발생하는 여러 면역학적 요인에 관해 연구했습니다. 혈청학에 화학을 도입한 것 역시 그의 큰 공로 중 하나입니다. 1943년 6월 24일, 그는 평생을 바친 자신의 연구실에서 심장마비를 일으켰고 이틀 후 그 연구소의 병원에서 사망합니다.
◆ 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의 주요 업적
ㅣ혈액형의 발견(1901년)
칼 란트슈타이너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인간의 혈액형을 발견한 것입니다. 사고나 질병으로 많은 피를 흘리면 혈액을 대체해야 하는데 일부 수혈 과정에서 적혈구 응집현상을 관찰했고 이를 통해 사람의 혈액이 서로 다른 항원-항체 반응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밝혀냅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A, B, AB, O 네 가지 혈액형 체계를 확립했으며 이들 간에 적합한 수혈 규칙을 제시합니다.
ㅣRh 혈액형 시스템 발견(1940년)
칼 란트슈타이너는 이후 알렉산더 S. 와이너(Alexander S. Wiener)와 함께 Rh 혈액형 시스템을 발견합니다. Rh 인자 역시 수혈 시 중요한 요소로 Rh 인자가 맞지 않으면 심각한 면역 반응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연구는 신생아 용혈성 빈혈(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rn) 등의 연구와 예방에 큰 기여를 합니다.
ㅣ면역학과 항체 연구
칼 란트슈타이너는 항체-항원 반응 연구 발전과 인간의 면역 반응이 외부 병원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한 연구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이것은 훗날 백신 개발과 자가면역질환 연구의 중요한 밑거름이 됩니다.
/참고: The Nobel Prize, 썸네일 이미지=챗gpt
2025.1. 씀.
'[시사] 사회 과학 경제 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아학파(Stoicism) 철학사상 이해하기 + 주요 인물 (0) | 2025.01.19 |
---|---|
영사확인(Authentication) 발급 방법ㅣ아포스티유 미가입국 (2) | 2024.12.22 |
[세계법령비교] 여행자 휴대품 면세범위 규정ㅣ대한민국 '관세법'과 비교 (2) | 2024.12.11 |
대한민국의 디지털노마드(워케이션) 비자ㅣ2024.1.1일 시행 (2) | 2024.10.28 |
한전 가정용 전기요금 가산세 구간ㅣ여름철 확대(7~8월) (2)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