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사회 과학 경제 법

스토아학파(Stoicism) 철학사상 이해하기 + 주요 인물

728x90
반응형


스토아학파(Stoicism) 철학사상 이해하기 + 주요 인물 


◆ 스토아학파의 철학 사상

 

스토아 철학은 BC 3세기경 그리스 철학자 제논에 의해 창시된 고대 그리스-로마 철학 사조입니다. 이성에 따른 삶, 자연과의 조화, 금욕의 평정심(아파테이아 Apatheia), 도덕(아레테 Arete), 실천 윤리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스토아 철학 사상은 감정 조절, 삶의 자세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현대 심리학과 자기 계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응형

 

◆ 스토아학파가 중시한 3가지 신조

 

ㅣ인간은 기본적으로 선하다

 

스토아학파 철학자들은 기본적으로 모든 사람이 선하다고 확신합니다. 세상이 조화롭고 이성적인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듯 인간 역시 근본적으로 이성적이고 선한 존재라는 것입니다. 

 

ㅣ우리를 괴롭히는 것은 어떤 일 자체가 아니라 그 일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다

 

이것은 에픽테토스가 창시한 사상으로 궁극적으로 스토아주의란 마음의 힘을 이용해 자신의 삶에 영향을 주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삶을 침범하는 불안과 걱정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서 출발한 스토아 철학의 질문의 도달점입니다. 

 

ㅣ무슨 일이 일어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중요하다

 

현대적인 사고방식에 가까운 격언입니다. 스토아 철학의 일부가 현대 심리학의 선구자로 여겨지는 것도 무리는 아닙니다. 특정한 사건에 어떻게 반응하느냐는 우리에게 달려있다는 것입니다. 이 신조는 인지행동치료의 기본 바탕이 됩니다. 

 

◆ 스토아학파가 중시한 4가지 덕목

 

ㅣ용기

 

선하고 옳다고 믿는 일을 위해 자신의 힘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ㅣ정의(공정)

 

지위, 인종,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 공정하고 친절하게 대하는 능력

 

ㅣ평정(절제)

 

삶의 모든 영역에서 건강한 균형을 찾는 능력

 

ㅣ실천적 지혜(신중)

 

사물이나 상황을 올바르게 판단하고 침착하고 신중하게 행동하는 능력

 

728x90

 

◆ 스토아학파의 주요 철학자 

 

ㅣ소크라테스(BC470-BC399)

 

스토아학파의 가장 중요한 롤 모델로 자신의 철학을 전수하기 위해 '산파술'을 사용합니다. '산파술'은 여러 제자들에게 생각을 자극하는 질문을 던져 그들 스스로 모순을 찾아 깨달음을 얻을 때까지 대화를 이어나가는 방식입니다. 소크라테스 철학은 플라톤의 저서 《대화》로 전해집니다. 

 

ㅣ키티온의 제논(BC333-BC261)

 

기원전 300년경 스토아학파를 체계적으로 창시한 인물입니다. 배가 난파되는 불운으로 전 재산을 잃고 이후 철학에 전념하였으며 플라톤의 《대화》를 읽었다고 합니다.

 

ㅣ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BC4-AD65)

 

영향력 있는 정치가이자 웅변가로 로마 황제 네로의 철학적 조언자였습니다. 중요한 저술로는 《행복한 삶에 관하여》,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 《마음의 평정에 관하여》 등이 있습니다. 

 

ㅣ무소니우스 루푸스(AD30-101)

 

에픽테투스의 스승으로 로마의 소크라테스로 여겨진 인물입니다. 직접 남긴 저술은 없으나 자신의 운명과 자신의 죽음을 인내심을 가지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가르침을 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ㅣ에픽테투스(AD55-135)

 

로마에 스토아 학교를 열어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죽을 때까지 많은 청중에게 스토아 철학을 전파합니다. 가장 중요한 저술인 《편람》은 중세 시대 약간의 수정을 거쳐 기독교인을 위한 삶의 지침서로 출판됩니다.    

 

ㅣ히에로클래스(AD2세기)

 

스토아 철학자인 히에로클래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습니다. 발언의 일부만이 파피루스에 남아 있는데 그는 모든 사람은 각기 다른 원을 통해 궁극적으로 다른 모든 사람과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 개념은 스토아적 세계주의 전통과 맞닿아 있습니다.

 

ㅣ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AD121-180)

 

젊은 시절 에픽테투스의 가르침을 접했으며 161년부터 로마 제국의 황제를 지낸 인물입니다. 철학자이자 황제로 존경받는 관대한 통치자였습니다. 그의 저서 《명상록》은 오늘날에도 널리 읽히는 고대 문학 작품 중 하나입니다. 

 

 

/참고: All Tags Stoiker(언제 행복할 것인가) by Dr.Jorg Bernardy, Wikipedia


2025.1. 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