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인머스캣(Shine Muscat) 로열티? + 영양성분과 당지수
◆ 샤인머스캣(Shine Muscat)의 개발
샤인머스캣은 1988년 일본 국립과수과학원(NIFTS)에서 개발한 포도 품종입니다. 커다란 황록색 열매, 쫄깃한 과육 질감, 무스카트(muscat) 풍미가 특징이며 당도는 높고 산도는 낮습니다.
1988년 개발한 이후 1999년부터 2002년까지 '포도 아키츠 23호'로 불리며 전국적으로 품종 적응성 시험을 실시합니다. 이후 2003년 9월에 농림부에 '샤인머스캣(Shine Muscat)'으로 상품 등록을 하고 2006년 3월 품종 등록을 완료합니다.
거의 20년에 가까운 시간을 들여 샤인머스캣 품종을 탄생시킨 것입니다.
◆ 샤인머스캣의 로열티
그렇다면 한국에서 생산하는 샤인머스캣에 대해 농가는 일본에 로열티를 지불해야 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에서 개발된 샤인머스캣은 2006년 품종 등록 이후 재산권 등록을 하지 않았습니다. 일본에서는 품종 등록 후 6년이 지날 때까지, 그러니까 2012년까지 재산권 등록을 하지 않으면 로열티를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한국, 중국에서 다수 재배되는 샤인머스캣은 로열티 없이 생산하고 있습니다. 로열티가 있었다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지금 보다 더 부담이 되었겠죠.
◆ 대한민국의 샤인머스캣(Shine Muscat)
우리나라에서는 경북 영천, 김천, 상주, 경산, 경주 등에서 샤인머스캣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수출가격이 일본의 3분의 1 정도로 낮아 한국산 샤인머스캣은 홍콩,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의 시장에서 매우 인기가 있습니다. 중국산 샤인머스캣은 더 저렴한 가격에 수출됩니다.
결론적으로 유럽이나 북아메리카 지역으로 수출되는 대부분의 샤인머스캣은 대한민국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품질과 가격면에서 일본과 중국에 비해 경쟁력이 있는 것입니다.
◆ 샤인머스캣 100g당 영양성분(출처: fatsecret)
ㅣ칼로리 69kcal
ㅣ지방 0.16g
ㅣ탄수화물 18.1g
ㅣ당 15.48g
ㅣ단백질 0.72g
ㅣ나트륨 2mg
ㅣ식이섬유 0.9g
ㅣ칼륨 191mg
◆ 샤인머스캣의 혈당지수(출처: Samsung Food)
46 (낮음)
혈당지수가 높지 않지만 하루 15알 이하로 먹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참고: Wikipedia, Samsung Food, Fatsecret
2024.10. 씀.
'[건강] 심리 운동 영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렌틸콩(Lentils)이 몸에 좋은 이유 5가지 (6) | 2024.10.07 |
---|---|
병아리콩(Chickpeas)이 몸에 좋은 이유 5가지 (6) | 2024.10.06 |
멜라토닌(melatonin) 보충제의 효과와 안전성 (4) | 2024.09.28 |
정신건강의 성별 격차에 대하여 (2) | 2024.09.27 |
폭염에 대응하는 인체의 체온 조절 4단계ㅣ일사병 열사병 예방 (0)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