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슨 매컬러스의 「마음은 외로운 사냥꾼」을 읽고
미국의 소설가 카슨 매컬러스(Carson McCullers, 1917-1967)가 1940년 발표한 첫 장편소설 <마음은 외로운 사냥꾼 The Heart is a Lonely Hunter>입니다. 카슨 매컬러스가 23세에 쓴 이 소설은 출간 직후 문단의 찬사를 받으며 당대 최고의 작품으로 이름을 알립니다.
<마음은 외로운 사냥꾼>은 미국 남부 소도시의 작은 카페를 중심으로 한 외로운 다섯 사람의 서사를 그리고 있습니다. 그 다섯 사람은 카페 주인 비프 브랜넌, 사회주의자 제이크 블런트, 독립적인 소녀 믹 켈리, 흑인 의사 코플랜드, 청각장애인 존 싱어입니다. 이들의 이야기는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 시대 자본주의의 모순과 인종차별로 인한 폭력, 개인의 소외와 고독을 상징합니다.
그는 누군가에게 그 일을 말하고 싶었다. 일어난 모든 일들을 사실 그대로 소리 내어 말하면 궁금했던 점들을 확실히 알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귀먹은 벙어리에게 이끌려서 자기 속에 있는 모든 것을 공짜로 갖다 바치려고 했다. 왜 그랬을까? _본문 가운데
청각장애가 있는 존 싱어는 마치 깨끗한 거울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알아들을 수 없고, 말을 하지 못하는 그는 존재 자체로 많은 이들에게 위로가 되어줍니다. 전혀 의도하지 않았지만 말이죠. 블런트는 누구에게든 말하고 싶었고 아무런 판단도 충고도 하지 않는 싱어는 가장 좋은 대화(?) 상대였습니다.
블런트는 <마음은 외로운 사냥꾼>에서 특히 소외된 이들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가난과 불평등을 없애고 노동자를 일깨우기 위해 몸 바쳐 싸우지만 늘 조롱당하는 인물입니다.
그의 미소는 수수께끼 같았다. 그들은 한 사람씩 싱어의 방에 와서 저녁 시간을 보냈다. 벙어리는 언제나 사려 깊고 침착했다. 그의 부드러운 두 눈은 마법사의 눈 같았다. 자기들이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이든 벙어리는 언제나 이해해 준다고 느꼈기 때문이었다. 어쩌면 그는 더 많이 이해하고 있는지도 몰랐다. _본문 가운데
카페 주인 비프를 제외한 블런트, 믹, 코플랜드는 싱어를 수시로 찾아갑니다. 그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고 무언의 위로를 받고 옵니다. 정확하게는 싱어에게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투사함으로써 소외와 고독에서 벗어나고자 했습니다.
반면 싱어와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교류하는 비프는 아마도 이들 세 사람보다 통찰 수준이 높지 않았을까요.
피아노를 좋아하는 믹 켈리는 피아니스트를 꿈꾸던 카슨 매컬러스의 분신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뭔가 간절히 원하지만 그것이 진정 무엇인지 자신 조차 알지 못하는 믹 역시 싱어에게 의지합니다.
믹은 이 사실을 늘 혼자 감추고 있었다. 아무도 몰랐다... 난 원해, 난 원해, 난 원해,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이 말뿐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간절히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믹도 몰랐다. _본문 가운데
신앙이 있는 저로서는 존 싱어가 마치 신적인 가치가 응축된 메타포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무슨 일이든 털어놓을 수 있고 전혀 대구를 하지 않지만 늘 위로가 되는 존재라는 점에서 말이죠.
어느 날 존 싱어는 스스로 생을 마감합니다. 그에게 모든 것을 털어놓았던 블런트는 싱어의 죽음으로 자신의 모든 것을 상실한 듯한 기분을 느낍니다. 싱어는 왜 그런 선택을 했을까요. 싱어는 <마음은 외로운 사냥꾼>에 나오는 인물들 가운데 가장 수수께끼 같은 존재입니다.
모두에게 침착하고 평안한 모습으로 위로를 전해주던 현자, 그가 사라지면서 이제 남은 이들은 텅 빈 마음으로 또 다른 의지처를 찾아 나서는 '외로운 사냥꾼'들이 되겠지요.
20대 초반에 이런 소설을 쓴 카슨 매컬러스의 작가적 감성이 놀랍습니다. 세상에 대해 얼마나 예리하게 관찰하고 깊이 사유했을지 짐작하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카슨 매컬러스라는 매력적인 작가 덕분에 <마음은 외로운 사냥꾼>이라는 굉장한 통찰을 얻어갑니다.
2024.11. 씀.
'[책] 소설 시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엣 타인 응우옌의 「동조자」를 읽고 (2) | 2024.11.23 |
---|---|
파트릭 모디아노의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를 읽고 (0) | 2024.11.22 |
폴 오스터와 존 맥스웰 쿳시의 「디어 존, 디어 폴」을 읽고 (10) | 2024.11.20 |
존 맥스웰 쿳시의 「마이클 K의 삶과 시대」를 읽고 (2) | 2024.11.19 |
디트리히 본회퍼의 「옥중서신-저항과 복종」을 읽고 (0)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