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소설 시 독후감

조르주 페렉의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을 읽고

728x90
반응형


조르주 페렉의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을 읽고


미술업계와 미술애호가, 미술작품의 진정한 가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담긴 작품입니다.

 

20세기 후반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가 조르주 페렉(Georges Perec, 1936-1982)의 1979년 작품,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 Un Cabinet d'amateur>입니다. 이 책은 1978년 출간된 <인생사용법>의 속편으로도 불리는데 역자후기에 따르면 페렉 역시 자신의 역작 <인생사용법>과 쉽게 작별하기 어려워 이 책을 썼다고 합니다. 

 

조르주 페렉은 오랫동안 화가가 되고 싶다는 꿈을 품고 살았으며 그림 그리기는 늘 그의 버킷리스트의 한 줄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그 덕에 화가와 그림은 페렉의 작품 소재로도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이 책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은 부제가 '그림 이야기'일만큼 그림에 대한 페렉의 애착이 짙게 배어 있습니다. 

 

728x90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은 화가 하인리히 퀴르츠의 작품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이 1913년 대중에 공개되는 장면으로 시작합니다. 이 그림은 방 안을 가득 채운 명화들 앞에 앉은 부유한 미술애호가 헤르만 라프케를 그린 그림입니다. 이 작품은 관람객을 단숨에 사로잡습니다. 그러나 전시회 폐막을 일주일 남겨두고 어느 관람객이 그림에 먹물을 뿌리면서 전시회는 엉망이 돼버립니다. 

 

이 장면은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 결말에 대한 복선 역할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미술업계를 향한 비판적인 시선을 암시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 속에는 첫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복제가 이루어집니다. 그림 속에 그 그림이 있고, 그 그림 속에 다시 또 그 그림이 있는 식이죠. 전시회 카탈로그에서는 이러한 작품의 특성에 대해 "연속되는 반사 유희와 점점 더 세밀해지는 반복이 만드는 마법적인 매력"이라는 그럴싸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전시회 이후 한 미학 잡지에 레스터 K. 노박이라는 학자의 논문 「미술과 반사」가 실립니다. 이 논문에 미술애호가에 대한 통찰이 드러나는데 16세기말에서 19세기 중반까지 귀족이나 부유한 상인들이 일종의 개인 전시실(Cabinet)을 소유하고 거기에 자신이 수집한 예술품이나 고상한 취향의 물건을 두어 부를 과시했다는 것입니다.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의 역사적 배경을 알 수 있습니다. 

 

노박은 관람객을 극도로 격앙시킨 모사화와 모사화 사이의 미세한 차이들이야말로, 예술가의 우울한 운명에 대한 최후의 표현일것이라고 주장했다. _본문 가운데 

 

반응형

 

 

경매에서는 사실상 그림 자체보다 명성 있는 작가의 서명과 호기심 어린 주제가 더 많은 가치를 인정받았다... 실제로 이 그림은 거장의 작품보다는 재미있는 여인숙 간판을 연상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은 만 달러 고지를 가볍게 넘어섰다. _본문 가운데

 

어느 날 헤르만 라프케가 시신으로 발견되고 그로부터 몇 달 뒤 라프케 컬렉션 경매가 열립니다. 당연히 그림 속 작품들의 원작에 대한 기대로 많은 사람들이 모입니다.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해서 말이죠.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은 작품 끝부분에서 모든 매듭이 한꺼번에 풀리듯 클라이맥스가 펼쳐집니다. 이것도 거짓, 저것도 거짓, 여기도 가짜, 그것도 가짜, 흥미진진한 결말입니다. 100페이지가 채 안 되는 짧은 이야기 속에 이렇게 밀도 높고 흥미로운 서사를 담아낼 수 있다니, 평론계에서 페렉을 천재 작가로 부르는 이유를 알겠습니다.


2024.9. 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