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심리 운동 영양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이해와 치료

728x90
반응형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ADHD 아동의 행동특성 

 

주의의 폭이 짧고 관심을 꾸준히 유지하기 어려움 / 외부자극과 내적생각에 의해 쉽게 산만해짐 / 말을 잘 듣지 않는다는 인상을 줌 / 지시를 끝까지 따르지 못하는 것이 반복됨 / 시간 안에 숙제나 집안일을 끝내지 못함 / 건망증, 세부적인 것에 부주의함 / 에너지 수준이 높고 들떠 있음 / 가만히 앉아 있기 어려워 하고 / 크게 말하거나 말을 많이 하는 등 과잉행동 / 집단 상황에서 차례를 기다리는 것을 어려워함 / 질문이 끝나기 전에 답을 불쑥 말하거나 / 다른 사람의 사적인 일에 자주 간섭함 / 파괴적, 공격적, 부정적 관심추구 행동이 빈번 / 부주의하거나 위험할 것 같은 활동에 몰두하는 경향 / 행동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타인에게 책임을 전가함 / 경험을 통해 배우지 못함 / 자존감이 낮고 사회성 기술이 빈약함

 

 2. 유병률 

 

학령기 아동의 5~8%가 ADHD 이며,

이는 학급당 1명 이상이 ADHD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아정신과 의뢰아동의 30~50%가 

ADHD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3. 신경화학적 요인 

 

상황을 판단하고 계획을 세워 반응을 조절하는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의 기능이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유전적/신경생물학적/사회심리학적 요인 중

신경생물학적 요인을 중요한 발병요인으로 봅니다.

 

 4. 예후 

 

아동의 ADHD 증상이 청소년기까지 지속되면

도둑질, 거짓말, 잦은 다툼, 중독, 가출 등의 행동과

파괴적 성향을 보일 수 있으며

정서적 미숙, 자존감 저하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60%가 

성인이 될 때까지 증상이 지속됩니다. 

 

 

 5. ADHD 아동의 심리치료 

 

ADHD 아동의 정신과 약물치료는 70~80%의

효과를 보입니다. 

20%정도에서 부작용을 겪을 수 있으나 

성인에 비해 약물에 대해 덜 민감한 편입니다. 

약물치료를 꺼리거나 그 효과를 제고 하기 위해

심리치료가 병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분명한 규칙-긍정적 강화-적절한 결과

분명한 지시-타임아웃-특권 박탈

정적 강화-부적 강화 등의 훈련을

부모와 아동이 가정과 학교에서 시행하게 됩니다.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을 개선하고, 

교사와 협업하여 학업수행 및

또래관계 개선을 돕는 등

아동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법을 사용합니다. 

 

Posted by Goyomnamoo_T (Aug.20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