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란?
레버리지 효과를 금융분야에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지렛대(leverage)에 비유하여 레버리지 효과로 표현합니다. 안정성을 추구하는 저축과 달리 투자에서는 종종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나려면 실제 투자액의 일부가 부채로 조달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총투자액 중에서 부채의 비중이 커지면(자기자본의 비중이 작아지면) 레버리지 효과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10억원인 아파트를 8억원의 전세를 끼고 자기자본 2억원으로 매입한다면, 투자 레버리지(=총투자액/자기자본)는 5배(=10억원/2억원)가 됩니다. 이후 집값이 10% 상승하여 11억원이 되면 자기자본 2억원에 대한 투자수익률은 가격변동률(10%)의 5배인 50%가 됩니다. 반면, 집값이 30% 하락하여 7억원이 되면 투자수익률은 가격변동률(-30%)의 5배인 -150%가 되어 집값이 전세값에도 못 미치는 소위 '깡통 전세'로 전락하게 됩니다.
레버리지가 '양날의 칼'에 비유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1997년 말 한국에 외환위기가 닥쳤을 때 많은 기업과 사업자가 파산한 원인 중 하나가 높은 부채비율로 인한 레버리지였습니다.
l 디레버리징(Deleveraging) 이란?
디레버리징은 말 그대로 레버리지를 축소하는 것을 의미하며, 부채를 축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미시경제 측면에서 보면 가계나 기업 등 개별 경제주체가 부채의 비중을 낮추는 것입니다. 경기가 호황일 때는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차입하여 수익성이 높은 곳에 투자해 빚을 상환하고도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레버리지(leverage)가 효과적인 투자기법이 됩니다. 그러나 경기가 불황일 때는 자산가치가 급격히 하락하여 수익성이 낮아지고 금리는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부채를 상환, 감축하는 디레버리징(deleveraging)이 더 나은 투자기법이 될 수 있습니다. 디레버리징을 위해서는 자산을 매각하거나 증자를 해서 자금을 조달해야 하므로 자금난을 겪는 민간 경제주체에는 고통스러운 과정이 될 수 있습니다.
거시경제 측면에서 보면 경제 전체의 디레버리징은 민간과 정부 등 여러 부문의 동시다발적인 부채 수준 감축을 의미합니다. 통상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의 하락으로 측정됩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에서 나타난 경제 전체의 디레버리징은 거시경제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경기불황으로 이어졌습니다.
2022.2.
글약방her 씀.
'[시사] 사회 과학 경제 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 이란?ㅣ대상, 신청방법, 금액, 탈퇴 (ft.국민연금공단) (0) | 2022.02.24 |
---|---|
공무원 퇴직급여ㅣ퇴직급여, 퇴직수당 등 종류와 지급액 (ft.공무원연금공단) (0) | 2022.02.20 |
[법령알기] 공부방 창업 A to Z ㅣ개인과외교습(영어,미술,수학,음악 등) 신고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2.02.14 |
2022 근로장려금ㅣ신청, 자격요건, 지급액, 지급일 (ft.국세청) (0) | 2022.02.07 |
동반입대 복무제도ㅣ지원자격, 지원방법, 선발절차, 복무지역 (ft.육군동반입대병) (0) | 2022.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