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사회 과학 경제 법

테이퍼링(tapering)과 양적완화(QE) 이해하기(ft.금융경제상식)

728x90
반응형

미국은 2008년 9월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금융위기 이후 큰 경기 불황을 겪게 됩니다. 이를 대공황에 빗대어 대침체(Great recession)이라고 합니다. 미국 중앙은행 격인 미국연방준비제도에서는 대침체에 빠진 미국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정책금리를 거의 제로에 가깝게 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경기 진작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국채 및 MBS를 직접 매입(자산매입프로그램)하여 대차대조표를 확대함으로써 장기적으로 금리를 낮추려는 정책을 시행하게 됩니다. 이 정책을 양적완화정책(Quantitative easing policy)이라고 합니다. 

 

참고! MBS(Mortgage Backed Securities)는 주택저당증권을 말하며, 주택이나 토지를 담보물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2013년 5월 당시 벤 버냉키 미국 연준 의장이 의회 증언에서 경제 여건 등을 고려하여 향후 중앙은행이 자산매입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는데, 그 이후 자산매입규모를 점차 줄여가는 양적완화축소 정책을 추진하게 됩니다. 이 양적완화 축소정책을 테이퍼링(tapering)이라고 부릅니다. 

 

반응형

 

당시 양적완화축소를 실시할 수 있다는 발언에 미국 뿐 아니라 자본 유출이 우려되는 신흥국가에서도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고 주가가 하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상당히 불안해졌습니다. 이 현상을 테이퍼탠트럼(taper tantrum: 긴축발작)이라 합니다. 

 

실제 양적완화축소는 2014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자산매입프로그램은 2014년 10월부터 중단되었습니다. 테이퍼링은 자산매입규모는 점차 줄어들지만 미국 연준의 대차대조표는 계속 확대된다는 측면에서 대차대조표 자체가 축소되는 대차대조표 정상화 프로그램(보유자산 매각, 만기도래 채권의 재투자 축소 등)과 구별됩니다. 

 

미국 연준은 양적완화정책으로 4.5조달러 수준까지 확대하였던 보유자산 규모를 보유채권의 만기도래시 원금상환액의 일부를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2017년 10월부터 축소하고 있습니다. 

 

양적완화정책(QE; Quantitative Easing)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금리중시 통화정책을 시행하는 중앙은행이 정책금리가 제로 수준에 근접하게 인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회복이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함에 따라 장기금리 하락을 유도하기 위해 국채 등을 무제한으로 매입하여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를 확대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양적완화정책은 2001년 3월 일본은행이 제로금리 하에서 일본은행 당좌예금잔액을 확대하는 정책을 도입하면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양적완화는 통화정책의 완화기조가 상당 기간 유지될 것이라는 신호를 줌으로써 민간 경제주체들의 향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를 높여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대비되는 개념으로 질적완화정책(Qualitative Easing)이 있습니다.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는 확대하지 않으면서 중앙은행의 자산 구성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즉, 중앙은행은 주로 무위험자산인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일부를 신용위험이 있는 채권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함으로써 금융시장의 신용경색을 타개하고자 하는 정책수단입니다. 

 

2021.12.

글약방her 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