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소설 시 독후감

미셸 투르니에 & 에두아르 부바의 「뒷모습 Vues de dos」을 읽고

728x90
반응형


미셸 투르니에 & 에두아르 부바의 「뒷모습 Vues de dos」을 읽고


누군가의 뒷모습이 눈에 들어오면 그때부터 진정한 사랑이 시작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꾸미거나 감출 수 없는, 심지어는 존재의 이면을 드러내는 <뒷모습>을 탐구한 사진 에세이집을 발견했습니다. 

 

현대 프랑스 최고의 작가 미셸 투르니에(Michel Tournier, 1924-2016)가 글을 쓰고 에두아르 부바(Edouard Boubat, 1923-1999)가 사진 작업을 한 <뒷모습 Vues de dos>입니다. 두 거장이 만들어 낸 <뒷모습>에 관한 단상은 매혹적이기까지 합니다. 

 

반응형

 

모든 것이 다 정면에 나타나 있다.

그렇다면 이면은?

뒤쪽은? 등 뒤는?

등은 거짓말을 할 줄 모른다.

_「뒤쪽이 진실이다!」 가운데 

 

우리는 얼굴 표정을 짓고 손짓과 발짓, 몸짓으로 자신을 표현합니다. 그러니까 정면, 앞모습에 이 모든 것이 나타납니다. 미셸 투르니에는 그.래.서. 우리의 등이 몸의 뒤쪽이 진실하다고 말합니다.  

 

출처ㅣ뒷모습 Vues de dos

 

등이 구부정해진 노인은 정원 가꾸는 일만 생각하며 느릿느릿 나막신 신고 걸어간다. 그의 옆에 이어지는 저 이끼 낀 난간은 더욱 은성했던 시절을 말해준다. _「채소밭 예찬」 가운데 

 

정원사의 <뒷모습> 사진에서 헤르만 헤세가 떠올랐습니다. 전쟁 중에도 정원을 가꾸고 정원일에서 즐거움을 찾았던 아마추어 정원사 헤르만 헤세, 만년의 그는 저 사진 속 정원사의 뒷모습과 닮지 않았을까요. 헤세 역시 정원을 '예찬'하는 삶을 살았으니 「채소밭 예찬」이라는 짧은 글의 제목이 더없이 마침맞습니다. 

 

728x90

 

 

나는 나를 위해 세수하고 나를 위해 옷을 차려입는다. 나는 너를 위해 머리를 매만진다. / 반대로 수도자, 병사, 수인의 배코머리는 비인간적 규율의 질서를 위해 타자와의 자연스러운 사회적 관계의 단절을 드러낸다. _「머리털」 가운데

 

머리카락에 대한 통찰을 적은 「머리털」이라는 단상이 꽤 신선합니다.

 

앞모습에서 머리카락은 '한낱 사진틀' 처럼 얼굴을 돋보이게 하는 것이 존재이유지만 뒷모습에서 머리카락은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그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합니다. 배코머리(빡빡 깎은 머리)는 그런 면에서 사회적 관계의 단절을 상징한다는 것인데 음... 과연 그럴듯한 이야기입니다. 

 

<뒷모습>에 수록된 다양한 '뒷모습'을 보면서 여러 생각이 스칩니다. 우리의 앞모습보다 뒷모습이 하고자 하는 말이 훨씬 더 많은 게 분명합니다. 


2025.1. 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