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서머싯 몸의 「케이크와 맥주 Cake and Ale」를 읽고
작가들의 삶, 문학계 내에서 벌어지는 일들, 일반 독자들은 알 수 없는 비밀스러운 내막을 드러낸 작품입니다.
영국의 극작가이자 소설가 윌리엄 서머싯 몸(William Somerset Maugham, 1874-1965)이 1930년 발표한 <케이크와 맥주 Cake and Ale>입니다. 이 작품은 서머싯 몸이 50대 후반, 그러니까 작가로서의 원숙기에 집필한 소설로 당시 문단과 세간에 큰 파장을 일으킨 풍자 소설입니다. 파장이 일었던 이유는 등장인물들이 당시 실존 작가를 연상시킬 만큼 그들과 흡사했기 때문인데 출판을 반대하는 한 작가ㅡ휴 월폴ㅡ에게 서머싯 몸은 "만약 이 작품에서 자네의 모습을 보았다면 우리가 대동소이할 뿐 결국은 같은 인간이기 때문일세."라며 논란을 잠재웁니다. 서머싯 몸의 진의는 그 누구도 알 수 없죠.
전전긍긍하며 출판을 막으려 한 휴 월폴(Sir Hugh Seymour Walpole, 1884-1941)은 괜한 에피소드를 만들어 문학사에 '처세술'로 성공한 작가라는 오명을 남기게 되었네요.
어떤 사람이 누군가의 집에 전화를 걸어 찾는 사람이 출타 중이라는 것을 알고는 중요한 용무인 양 들어오는 대로 전화해 달라는 메시지를 남겼다면 그 용무란 것은 전화를 받은 사람보다 전화한 사람에게 더 중요한 일이기 마련이다. (p.13) _첫 문장
<케이크와 맥주>의 주인공이자 화자 어셴든은 어느 날 귀가 후 부재중 메시지를 확인합니다. 오랜 친구이자 동료 작가인 엘로이 키어의 전화 요청입니다. 여기서부터 어셴든은 엘로이 키어와 다른 작가들, 그리고 문학계에 관한 서사를 풀어나가기 시작하고 이것이 <케이크와 맥주>의 주된 흐름이 됩니다.
작품 표제인 '케이크와 맥주'는 물질적 쾌락과 인생의 유희를 뜻하는 관용구로 사용됩니다. 서머싯 몸은 <케이크와 맥주>에서 성공과 창작열 사이에서 곡예를 하는 성공에 눈이 먼 작가와 문단을 적나라하게 묘사하며 쾌락과 유희를 좇는 삶의 덧없음, 그리고 현명한 작가라면 성공을 경계해야 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동시대 작가들 중 로이만큼 보잘것없는 재능으로 확고한 위치를 거머쥔 작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p.16)
어셴든은 엘로이 키어가 문단에서 승승장구하는 것을 보며 감탄합니다. 엘로이 키어는 작가 지망생들에게 롤모델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을 만큼 성공한 작가입니다. 그러나 어셴든은 그의 비루한 속사정, 화려한 처세술을 누구보다 잘 알기에 그의 성공에 '감탄(!)'하는 것일 뿐입니다.
평론가는 형편없는 작가에게 세상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고 세상은 전혀 가치 없는 자에게 열광할 수 있지만 두 경우 모두 오래가지는 못한다. (p.138)
"신사와 작가 노릇을 동시에 하는 건 어려운 일이야." (p.156)
작가의 삶이란 가시밭길이다. 우선 가난과 세상의 냉대를 견뎌야 한다.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고 나서는 살얼음판을 걸어야 한다. 그리고 변덕스러운 대중에 휘둘린다. (p.294-295)
어셴든은 작가의 길이 결코 순탄하지 않음을 다양한 상황을 예로 들며 설명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창작을 업으로 하는 작가라는 일의 특성 때문에 더욱 예민하고 어려운 일이 됩니다. 초심을 잃기가 얼마나 쉬운지, 대중이나 성공에 휘둘려 자칫 넘어질 위기가 수도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며 아이러니하게도 세상의 모든 작가를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스스로 어떤 선택이 현명한가에 대해 자문할 수 있게 합니다.
어셴든이 <케이크와 맥주>를 통해 전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자유를 잃는 순간 작가는 균형을 잃는다.
"작가는 유일한 자유인이다."
2025.1. 씀.
'[책] 소설 시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네하시 코츠의 「세상과 나 사이 Between The World and Me」를 읽고 (0) | 2025.01.06 |
---|---|
레몽 루셀의 「로쿠스 솔루스」를 읽고 (2) | 2025.01.05 |
조너선 프랜즌의 「인생 수정 The Corrections」을 읽고 (3) | 2025.01.03 |
오자와 다케토시의 「1년 뒤 오늘을 마지막 날로 정해두었습니다」를 읽고 (0) | 2025.01.02 |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긍정의 배신 Bright-Sided」을 읽고 (2)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