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심리 운동 영양

뚜렛 장애(Tourette's Disorder)ㅣ틱 장애, 특징, 진단, 원인, 치료

728x90
반응형

'뚜렛 장애(Tourette's Disorder)'틱 장애(Tic Disorder)

분류되는 운동장애의 한 종류입니다.

 

틱 장애는 얼굴 근육이나 신체 일부를 갑작스럽게 움직이거나

갑자기 이상한 소리를 내는 이상행동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를 일컫습니다.

 

틱 장애 운동 틱(motor tic)음성 틱(vocal tic)으로 구분됩니다.

 

말 그대로 운동 틱은 눈, 머리, 어깨, 입, 손 부위를

갑자기 움직이는 특이한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를 말하며,

음성 틱은 갑자기 소리를 내는 행동으로

헛기침, 킁킁거리기, 컥컥거리기, 엉뚱한 단어를 반복하기 등이 있습니다.

 

모든 형태의 틱은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에는

악화되는 반면 편안한 상태로 어떤 활동에 집중할 때는 감소합니다.

즉 당사자에게 저항할 수 없는 경험임과 동시에

일시적으로 억제될 수도 있는 증상입니다. 

 

 

◈ 뚜렛 장애의 진단과 경과

다양한 운동 틱과 한 개 이상의 음성 틱1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로서 틱 장애 중 가장 심각한 유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18세 이전에 시작됩니다. 뚜렛 장애에서 운동 틱이 나타나는 신체부위, 빈도, 심각도는 계속해서 변하는데 초기에는 흔히 얼굴과 목에 나타나고 점차 몸의 상체, 하체 쪽으로 이동하면서 다양하게 발생한다고 합니다.  

 

틱이 갑자기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일상생활이나 학교생활에서 심각한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갑작스러운 틱으로 인해 머리를 찧거나 피부가 상하고 관절이 다치는 신체적 손상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 뚜렛 장애의 임상적 특징

뚜렛 장애는 인구 1만 명당 약 4~5명에게 발생하는 매우 드문 장애입니다.

또한 다양한 민족과 인종 집단에서 광범위하게 보고되고 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1.5~3배까지 더 많이 나타납니다.

 

대체로 아동기 또는 초기 청소년기에 발병하며

운동 틱의 경우 7세정도에 평균적으로 발병한다고 합니다.

뚜렛 장애는 악화와 완화를 거듭하며 오랜 기간 지속되며,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와 성인기에는 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반응형

 

◈ 뚜렛 장애의 원인에 대한 여러가지 견해

유전적 요인이 뚜렛 장애의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여러 근거가 있습니다.

뚜렛 장애가 있는 어머니의 자녀 중

아들에게 뚜렛 장애가 나타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뚜렛 장애는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관련성이 높아

뚜렛 장애 환자의 절반 정도는 ADHD도 함께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강박장애와도 상관성이 높아 뚜렛 장애 환자의 40%가

강박장애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경해부학적 요인으로는 도파민의 과잉 활동

뚜렛 장애 증상 발현에 관여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 뚜렛 장애의 치료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

 

뚜렛 장애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약물치료입니다.

증상이 가벼울 때는 약물을 사용하지 않으며,

심리치료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나

행동장애나 적응문제가 있을 때는 적용되기도 합니다.

 

습관반전법(habit reversal treatment)으로 불리는 행동치료 기법이

뚜렛 장애에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습니다. 

 

 

Posted by Goyomnamoo_T (May.20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