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심리 운동 영양

좌선(坐禪)ㅣ불교수행법, 참선과 명상 차이점

728x90
반응형


좌선(坐禪)ㅣ불교수행법, 참선과 명상 차이점


좌선(坐禪) 의미

 

좌선이란 불교에서 가부좌를 하고 무념무상의 경지에 들어가는 불교수행법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한자어로 '좌'는 앉다, '선'은 고요하다는 뜻으로 고요함 속에 앉아있는 것을 말합니다. 

 

728x90

 

◆ 불교에서 좌선(坐禪)

 

불교에서 좌선은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에서 단좌정사(단정히 앉아 고요히 생각함)하여 깨달음을 얻은 것에서 비롯됩니다. 중국에서는 좌선을 근본수행법으로 삼는 '선종'이 성립되어 크게 성행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선종의 여러 고승들이 좌선에 관한 글을 남겼으며, 한결같이 앉아서 선을 닦는 좌선이 집중력을 길러주는 가장 좋은 방법임을 강조합니다. 

 

 

◆ 올바른 좌선 방식

 

올바른 좌선 방식은 오른쪽 다리를 왼쪽 허벅지 위에 놓고 왼쪽 다리를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는 결가부좌, 또는 단순히 왼쪽 다리를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는 반가부좌를 취합니다. 다리를 놓는 형식뿐만 아니라 손의 모양, 허리를 펴고 척추를 세우는 것, 혀의 위치, 눈을 뜨는 방법 등 일정한 규범에 따라 육체를 올바르게 보존하여 단정히 앉아야 합니다. 

 

호흡은 가늘게, 길게, 고르게, 부드럽게 하여야 합니다. 호흡할 때 마음을 한 곳은 모으는 법으로는 화두(수행자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참구 하는 문제)를 잡는 법과 무념무상에 빠지는 법이 있습니다. 

 

반응형

 

◆ 참선(參禪)과의 차이

 

참선이란 선의 경지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깨달음을 얻기 위해 자기의 본성을 참구하는 불교수행법을 일컫습니다. 일상에서 참선이라는 말은 궁극적인 진리를 탐구하는 종교적 실천 수행을 의미합니다. '선'이란 고요함과 같은 마음 상태를 말하는데 팔리어로 'Jhana', 범어로는 'Dhyana', 영어로는 'meditation', 한글로 번역하여 '명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오늘날 참선과 명상이라는 용어가 함께 사용되고 있는데 마음의 본질에 대한 깨달음을 추구하는 전문 수행자들은 '참선'이라는 용어를 선호하고, 마음의 평화를 구하는 일반 대중은 '명상'이라는 용어를 더 잘 사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3.10. 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