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 문화 역사 문학 미술

노자 <도덕경>이란? 구성, 핵심사상, 동양철학, Tao Te Ching

728x90
반응형


노자 <도덕경>이란? 구성, 핵심사상, 동양철학, Tao Te Ching


◆ 도덕경(Tao Te Ching)

 

도덕경은 중국 도가철학의 시조인 노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서적입니다. <노자> 또는 <노자도덕경>이라고도 합니다. 노자 한 사람이 쓴 것이라고는 볼 수 없고 오랜 과정을 거치며 기원전 4세기경 지금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ㅣ구성

 

약 5,000자, 전체 81장으로 상편 37장 「도경」, 하편 44장 「덕경」

 

ㅣ핵심사상

 

무위자연, 모든 거짓과 인위에서 벗어나 자연에 합일하려는 사상

 

728x90

 

◆ 유가사상(유교)과의 차이점

 

<도덕경>에서는 좋다/나쁘다, 크다/작다, 높다/낮다 등의 판단은 인간이 인위적으로 비교하여 만들어낸 상대적 개념으로 이러한 것으로는 도를 밝혀낼 수 없다고 말합니다. 특히 언어는 상대적 개념의 집합체로 <도덕경>에서는 언어에 대한 부정이 나타나며 이 점에서 유가사상과 현격한 차이가 있습니다.

 

 

유가사상에서는 인위적 설정인 '예학'이 중요하며 언어에 의한 규정이 강조되는 반면 <도덕경>에서는 규정의 파기와 언어 부정을 강조합니다. 유가사상이 생존환경이 열악한 중국 북방의 황하유역에서 형성되었고 <도덕경> 사상은 날씨가 온화하고 자연조건이 순조로운 남방 양쯔강유역에서 형성되었는데 이런 환경의 차이가 사상의 기질적 차이를 만들었다고 보기도 합니다.

 

반응형

 

◆ 한국에 전래된 <도덕경>

 

<도덕경>은 삼국시대에 우리나라에 전해집니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도교가 융성하여 <도덕경>을 연구하는 사람도 많고 수준도 높았던 것으로 짐작합니다. 이후 조선시대에 와서는 엄격한 주자학(성리학)적 사상과 그 배타성으로 <도덕경>에 대한 연구가 위축되었으나 일부 사상가는 연구를 이어갑니다. 

 

대표적으로 박세당의 「신주도덕경」, 도덕경 81장을 40여 장으로 요약한 이이의 「순언」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도덕경>에 대한 관심이 희박한 것은 앞서 구술한 대로 다른 사상을 이단으로 보는 성리학의 폐쇄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덕경>의 기본 흐름은 일찍부터 우리나라의 도교신앙과 접합되어 민중의식 속에 깊이 뿌리 박혀 기층의 민간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해 왔습니다.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3.9. 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