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 문화 역사 문학 미술

한국 민간신앙이란? 분류 3가지, 특징 6가지ㅣ민속종교 토착종교 무속신앙 샤머니즘

728x90
반응형


한국 민간신앙이란? 분류 3가지, 특징 6가지ㅣ민속종교 토착종교 무속신앙 샤머니즘


한국인과 샤머니즘 문화에 대해 토론하는 영상을 본 적이 있습니다. 철학자 한분이 한국인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샤머니즘을 떼놓을 수 없다는 말을 하며 공동체 집단문화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막연하게만 알고 있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민간신앙, 샤머니즘에 대해 알아봅니다. 

 

◆ 민간신앙(민중신앙)

 

민간신앙이란 종교적 체계 없이 민간에서 전승되는 주술적 종교를 일컫습니다. 교리나 교단 조직 체계를 갖추지 않아 종교로 발달하지 못하고 신앙 종사자들 역시 대중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신화, 의례, 주술, 제사, 마을신앙, 세시풍속, 통과의례, 금기, 풍수, 무속, 조상숭배, 민간의료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민간신앙은 정확히 규정 내리기 어려운 개념으로 여러 의미로 쓰이고 있으나 통상 '민족적 특성이 강한 민속종교'라로 볼 수 있습니다. 

 

728x90

 

ㅣ분류

  - 가신신앙

  - 마을신앙

  - 무속신앙

 

ㅣ특성

  - 전통성이 강하고 민족적 의식이 강하게 밀착되어 있음

  - 미신으로 불릴 만큼 원시성(비조직성; 내용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 많은 종교

  - 신자나 신앙 종사자들이 서민 또는 대중

 

 

◆ 가신신앙

 

집을 중심으로 한 신앙으로 안방의 조상신과 삼신, 마루의 성주신, 부엌의 조왕신, 뒤꼍의 택지신과 재신, 출입구의 수문신, 뒷간의 측신, 우물의 용신 등이 있습니다. 집 밖에 있는 잡신들이 들어오지 않도록 대문에 가시나무나 금줄을 걸어 출입을 제한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의례방법으로는 비손(손을 비비기)의 형태가 대표적입니다. 손을 모아 비는 의식인데 주부가 가족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행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마을신앙

 

이차적인 생활공동체인 마을신앙은 가신신앙의 확대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으로는 산신, 동신, 골매기신 등 인격신과 비인격신이 있는데 마을의 특성에 따라 신도 달라집니다.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하나의 주신을 섬기고 하위신으로 장승 등을 모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을신에 대한 의례는 부락제 또는 동신제라고 합니다. 마을신앙은 대체로 하나의 마을에 한정되지만 때로는 마을 간 연합으로 농경의례를 하거나 공동으로 동제를 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응형

 

◆ 무속신앙

 

삼국시대 이후 무속신앙이 여러 국가적 행사도 담당하고 차차 가정과 마을신앙으로 정착되어 갔음을 많은 사료들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뒤 무속에서는 신의 체계에 따라 신화를 창출하거나 신격의 설명들을 의례로 표현하며 불분명한 신관이나 신앙체계를 체계화합니다. 이 과정에서 불교나 유교 등 외래종교의 형식이나 조직성을 모방하기도 합니다. 예컨대 불교 사찰 내 산신각이나 삼성각을 짓게 된 것은 무속신앙을 수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독교에도 그 신앙의 기반에는 무속의 엑스터시적 요소가 있습니다. 무속신앙은 미신이라는 차별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의 구조 안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한국인의 의식 속에 무속이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 민간신앙의 특징 6가지

 

1. 신이 매우 다양한 다신론적 특징

: 천신, 산신, 바다 우물 들 정령, 동식물의 영혼, 집안 곳곳의 신 

 

2. 개인 단위가 아닌 공동체의 신앙

: 개인이 병이 나서 굿을 하는 경우에도 집 전체를 위한 굿을 함

 

3. 다른 외래종교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음

: 불교 및 유교와 상호보완적 입장에서 이중적 기능을 함

 

4. 구체적 생사화복에 집착되어 있음

: 장사가 잘 안 될 때, 농사가 잘 안 될 때, 우환이 많을 때 신앙행위를 함

 

5. 지연이나 혈연 중심의 생활공동체 신앙이라는 점에서 울타리 밖의 사람에게는 매우 폐쇄적임

: 지연이나 혈연이 없는 이에게 매우 폐쇄적이며 적대시하는 경향도 나타남

 

6. 사회적 모순, 사회 제도에 대한 불만, 개인의 원한 해결 등 사회 통합기능을 갖고 있음

: 갈등이나 원한에 직접 복수를 행하지 않고 죽은 뒤 원령이 되어 복수하는 등 간접적인 방법으로 사회적 정면대립을 피함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3.8. 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