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Sergei Rachmaninovㅣ작곡가의 작품과 생애 (6)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Vasil'evich Rachmaninov)의 음악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Rachmaninov, 1873-1943)는 러시아의 대표적인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입니다. 그의 작품은 풍부한 감성과 뛰어난 음악적 기교로 유명하며 특히 장대한 멜로디와 복잡한 화성 구조가 특징입니다.
라흐마니노프의 곡은 매우 난이도가 높아 피아니스트들에게는 도전적인 레퍼토리로 꼽힙니다. 라흐마니노프 자신이 탁월한 피아니스트였기 때문인데 그의 곡은 본인의 넘치는 기교와 큰 손을 염두에 두고 작곡되어 손이 작은 피아니스트들에게는 더 연주하기 어려운 곡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학 시절 친하게 지내던 한 선배가 라흐마니노프 팬이었는데 당시 암울한 그의 음악을 왜 좋아할까 궁금해서 같이 들어보기도 하고 정보를 찾아보기도 했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 나이가 들어서 라흐마니노프를 들으니 이제 귀가 열립니다.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Vasil'evich Rachmaninov)의 생애
ㅣ20대까지의 생애 초기(1873-1901)
라흐마니노프는 1873년 러시아의 세묘노보 근교 오네그(Oneg, near Semyonovo)에서 은퇴한 육군 장교인 아버지와 장군의 딸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납니다.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여 9살 때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했으며 이후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작곡을 공부했습니다. 이 시기에 피아노 협주곡 1번, 교향곡 1번 등 초기 작품들이 탄생합니다.
그러나 1897년 3월 교향곡 D단조 1번이 초연에 실패하면서 심한 좌절과 우울증을 겪게 되고 심리치료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한 것을 계기로 그의 음악에 감정적 깊이가 더해지기 시작합니다.
ㅣ30대에서 40대 초반(1902-1917)
이 시기에 라흐마니노프는 러시아에서 주로 활동하며 다작을 합니다. 그의 음악적 스타일이 완성되고 성숙해지는 시기입니다. 이때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을 남기는데 피아노 협주곡과 교향곡, 가곡에 많은 공을 들였습니다. 피아노 협주곡 3번 D단조(1909년), 교향곡 2번 E단조(1907년) 등 이 시기에 나온 작품들은 그의 대표작으로 자리 잡습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라흐마니노프는 가족과 함께 러시아를 떠나 스위스와 미국을 오가며 피아니스트로 활동하게 됩니다. 25년 동안 영어권 국가에 살았지만 언어와 문화에 완전히 적응하지 못했고 다소 고립된 삶을 살며 러시아를 그리워합니다.
ㅣ40대 중반 이후(1918-1943)
라흐마니노프가 40대 중반이던 1918년 이후로는 작곡보다는 주로 피아니스트로 활동합니다. 미국에서 피아니스트로 성공을 거두고 인기를 끌었지만 러시아를 떠나온 이후 창작에 대한 영감과 열정이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이 기간에 작곡한 거의 유일한 작품이 교향곡 3번 A단조(1936년)로 그의 향수와 우울이 잘 드러난 곡입니다.
라흐마니노프는 1943년 70세를 일기로 사망할 때까지 미국에 머물렀으며 그의 후기 작품들은 깊어진 서정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담긴 점이 특징입니다.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Vasil'evich Rachmaninov)의 주요 작품
ㅣ피아노 협주곡 2번 다단조 작품번호 18
1900년 가을부터 1901년 4월 사이에 작곡한 라흐마니노프의 걸작 중 하나로 이 작품의 성공으로 교향곡 1번의 실패(1897년)로 실추된 명예를 회복합니다. 전체 3개의 악장으로, 1악장은 모데라토(Moderato), 2악장 아다지오 소스테누토(Adagio sostenuto), 3악장 알레그로 스케르찬도(Allegro scherzando)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악장 도입부만 들어도 '아~!' 할 만큼 유명한 곡입니다.
ㅣ피아노 협주곡 3번 라단조 작품번호 30
1909년 9월에 완성한 피아노 협주곡으로 작품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는 곡이자 세상에서 가장 연주하기 어려운 피아노 협주곡 중 하나입니다. 사실 이 곡은 라흐마니노프가 자신의 피아니스트로서의 재능을 보여주기 위해 작곡한 것으로 연주자에게 상당한 수준의 기교와 음악성을 요구합니다. 전체 3악장으로 일반적인 총 연주 시간은 40~45분 정도입니다. 1909년 11월 미국 뉴욕에서 초연됩니다.
영화 샤인(Shine, 1996년)에서 피아니스트인 주인공이 이 곡 때문에 고통받는 모습이 나옵니다.
ㅣ피아노 독주곡인 전주곡(Prelude, Op3 No.2)
피아노 독주회에서 자주 연주되는 라흐마니노프의 유명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 부제는 '모스크바의 종(The Bells of Moscow)'으로 라흐마니노프가 18세에 작곡했습니다. 손이 큰 라흐마니노프 자신에게 맞춰 작곡한 곡으로 양손이 넓은 음역대를 계속 움직여가며 쳐야해서 일반적인 피아니스트들에게는 체력 소모가 상당한 곡입니다. 피아노 독주곡이지만 오케스트라의 선율이 들릴 정도로 웅장하고 장대한 곡입니다.
찰리 푸스(Charlie Puth)가 One Call Away 뮤직비디오의 첫 장면에서 이 곡을 연주하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참고: Britannica, Wikipedia
2025.2. 씀.
'[예술] 문화 역사 문학 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드바르 그리그 Edvard Griegㅣ작곡가의 작품과 생애 (5) (1) | 2025.01.29 |
---|---|
(2) 20세기 책, 100대 도서 51~100위ㅣ굿리즈 Goodreads (0) | 2025.01.24 |
(1) 20세기 책, 100대 도서 1~50위ㅣ굿리즈 Goodreads (0) | 2025.01.23 |
자코모 푸치니 Giacomo Pucciniㅣ작곡가의 작품과 생애 (4) (2) | 2025.01.17 |
주세페 베르디 Giuseppe Verdiㅣ작곡가의 작품과 생애 (3) (0) | 2025.01.16 |